[십승지]무주군 무풍면 [십승지]무주군 무풍면 북한의 삼수.갑산과 남한의 무주(茂朱) 구천동은 오지(奧地)의 대명사다. 세상 일에 어두운 사람을 두고 "무주 구천동에서 왔나" 라고 할 정도로 무주라는 지명은 속세와 동떨어진 곳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세상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는 곳이 무주다. 무주 구천..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10.10.08
소백산맥의 중심 무풍/도선비기의 십승지 소백산맥의 중심 무풍 ◀무풍면은 봉황(중앙의 산)이 날개를 펴고 마을에 내려오는 형국이다. 풍수가들은 산에는 기를 모으고 돋우는 산과 기를 발산해서 소진하는 산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백두대간의 여러 산 중에서도 특별히 태백산, 소백산, 덕유산을 중시하는데 태백ㆍ소백산은 우리나라의..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10.10.08
무풍면(茂豊面)의 연혁(沿革) 무풍면(茂豊面)의 연혁(沿革) 면의 중심인 현내리(縣內里) 부근은 화강암이 침식풍화된 해발고도 400~900m의 분지이고, 그 주위는 해발고도 700~1,000m의 산지이다. 주곡 농업 외에 고랭지채소엽연초 등이 생산된다. 현내리에서 무주, 김천, 거창 방면으로 통하는 도로가 분기된다. 삼국시대에는 신라에 ..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9.04.22
이만번 형제 충효각 이만번 형제 충효각 호는 두천이요, 홍양인인 이만번은 무풍면 철목리 출신으로 충성심이 강하고 활 쏘기와 말 타기에 능한 무술이 뛰어난 사람이었다. 이조 경종때 1720년경 경남 안의에 사는 정희량은 이만번이 뛰어난 무술가라는 것을 소문 듣고 가끔 많은 금품과 함께 사람을 보내어 그와 가까이 ..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9.04.22
무풍면(茂豊面)의 유래 무풍면(茂豊面)의 유래 무풍면(茂豊面)은 옛 삼한시대에는 변진국(弁辰國)을 맹주국(盟主國)으로 하는 감문국(甘文國)에 속해 있었으며 231년(신라 助賁王 2년) 신라가 감문국을 토벌하여 무산(茂山)이라 하고 청주 무산현(茂山縣)이라 하는 치소를 두게 되었으니 백제의 적천현(赤川縣)과 ..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9.02.02
고 향 - 하상동 고 향 - 하상동(호:하심) 낯익은 당신을 맞는 아침 하늘엔 구름 한 점 높이 떠 있어 내 마음을 탁 튀워 줍니다. 언제 올라도 날아 갈 것 같은 기분 천하가 내 발아래 놓인 것처럼 오만한 눈으로 둘러보면 낯익은 마을들 옹기종기~ 내 고향 무풍‼ 온산 붉게 물들어 발가벗은 여인처럼..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8.12.06
99간 한옥 명례궁 그거 아세요? 99간 한옥은 불법건축물이었다는 사실. 조선시대는 계급제의 영향도 있었지만, 유교를 근간으로 하면서 검약과 수행을 실천하였기 때문에 왕의 자손인 대군과 군조차도 66간밖에 집을 지을 수 없었답니다. 한 간은 기둥과 기둥 사이를 의미하는데, 1.818미터이므로 한 간이 한..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8.09.24
박희덕 국립국악학교 교감의 이성순 한국중앙복지개발원 이사장 [내 삶의 멘토] 박희덕 국립국악학교 교감의 이성순 한국중앙복지개발원 이사장 국악에 복지개념 접목토록 인도 교회가 없어 하나님을 알 수 없었던 충북 영동 산골에서 태어나 국립국악학교 교감으로 재직하며 주일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역자로 인도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가 감사하..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8.08.20
사선암(四仙岩)! ♡사선암(四仙岩)! 태백산맥에서 갈리어 서쪽으로 달리다가 다시 서남쪽으로 뻗어 내린 준령에 영남과 호남의 경계인 삼봉산(三峰山 1,254m)이 있고, 거기서 다시 뻗어 무풍면 철목리와 설천면 두길리의 접경에 있는 산 정상에 높이 수십 척이나 되는 구형(矩形)의 검암이 맞바라 보고 있다..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8.02.17
무주군(茂朱郡) 읍, 면 유래 무주군(茂朱郡) 읍, 면 유래 무주읍(茂朱邑)은 옛 삼한시대(三韓時代)에는 마한국(馬韓國)에 속해 있다가 삼국시대(三國時代)는 346년(百濟 近肖古王時) 百濟가 마한(馬韓)을 정복하면서 백제(百濟)에 속한 적천현(赤川縣)으로 신라(新羅)의 무산(茂山)과 국경을 이루고 있었다. 그후 757년(新羅 景德王 16.. 풍월의 쉼터/고향사선암 200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