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예방수칙과 10계명 *** 치매 예방수칙과 10계명 *** 치매는 암 보다도 무서운 병입니다! 치매만큼 잔인한 병은 없다, 겉은 멀쩡한데 기억과 성격은 전혀 다른 사람처럼 파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예방이다, 예방처럼 좋은 치료제 는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예방할 수 .. 즐거운 생활/건강,의학 2011.07.06
부모은중가 - 능인스님 부모은중가 - 능인스님 오랜 세월 맺어온 깊으신 인연으로 이 세상에 다시 와서 어머님 몸 의탁했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인생고개 잘도 넘어간다 해산의 어려움이 다가오면은 근심스런 눈물은 가슴에 가득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인생고개 잘도 넘어간다 어머님.. 음악의 산책/찬불음악 2009.01.08
부모은중경10 - 끝까지 염려 하시고 사랑해 주시는 은혜 부모은중경10 - 끝까지 염려 하시고 사랑해 주시는 은혜 10. 구경연민은(究竟憐愍恩:끝까지 염려 하시고 사랑해 주시는 은혜) 어버이의 크신 은혜 깊고도 중하여라. 은혜와 사랑을 끝없이 베푸시네. 앉고 서나 자식 좇아 마음이 따라가니 멀거나 가깝거나 마음은 자식에게 있네. 어머니 연세 높아 백 살..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9 - 자식을 위해서 궂은 일도 마다하지 않으시는 은혜 부모은중경 9 - 자식을 위해서 궂은 일도 마다하지 않으시는 은혜 그 동안 부모의 은혜가 지중함을 설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벽화로 도설된 그림과 함께 보아 왔다. 사찰의 벽화로 그려지는 도상의 유형은 다양하겠으나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화보풍의 중국식 도상이고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8 - 멀리 떠나면 걱정해 주시는 은혜 부모은중경 8 - 멀리 떠나면 걱정해 주시는 은혜 8. 원행억념은(遠行憶念恩: 멀리 떠나면 걱정해 주시는 은혜) 죽어 헤어짐도 실로 잊기 어렵지만 살아서 못 만남도 또한 가슴 아파하시네 아들 딸이 집을 떠나 먼 길을 가게 되면 어머니의 마음 또한 그 곳에 함께 있네 밤낮으로 자식 좇아 마음이 따라가..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7 -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씻어 주시는 은혜 부모은중경 7 -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씻어 주시는 은혜 “뿌리 없는 나무가 없고 물은 근원없이 흐를 수가 없다.”는 말은 세상에 조상과 부모 없이 태어난 사람이 없음을 일컬어 비유한 말이다. 내가 부모로 인하여 세상에 태어났고 그 부모로 인하여 길러졌음을 안다면 부모를 받들고 모셔야 할 것..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6 - 젖을 먹여 길러 주신 은혜 부모은중경 6 - 젖을 먹여 길러 주신 은혜 6. 유포양육은(乳哺養育恩:젖을 먹여 길러 주신 은혜) 자비로우신 어머니 땅과 같고 근엄하신 아버지 하늘과 같네. 고루고루 펴신 은혜 똑같이 베푸시니 어버이의 아기 사랑 그 역시 한뜻일세. 눈이 멀다 해도 미워하지 않고 손발이 병신이라도 싫어함 없네. 뱃..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5 - 마른 자리 아기 뉘고 젖은 자리 누우신 은혜 부모은중경 5 - 마른 자리 아기 뉘고 젖은 자리 누우신 은혜 부모님 의 은혜를 높은 산과 넓은 바다에 비유한다. 하지만 우리는 부모님의 은혜가 왜 이처럼 높고 넓은지는 모르고, 그저 나를 낳고 기르시느라 고생만 하시기 때문이라는 막연한 고마움만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나 『부모은..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4 -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을 뱉어 먹이시는 은혜 부모은중경 4 -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을 뱉어 먹이시는 은혜 4. 연고토감은(咽苦吐甘恩: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을 뱉어 먹이시는 은혜) 부모의 은혜 깊고도 중하여 사랑하심을 한시도 잊지 않으시네. 좋은 음식 마다하니 무엇을 잡수시나. 쓴 것만을 삼키셔도 그 얼굴 밝으시네. 지중하신 그 사랑에 솟는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
부모은중경 3 - 자식을 낳고 근심을 잊는 은혜 부모은중경 3 - 자식을 낳고 근심을 잊는 은혜 불교의 보은(報恩)사상과 관련하여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과 함께 『목련경(目連經)』 『우란분경(盂蘭盆經)』 『심지관경(心地觀經)』 등이 있다. 『증일아함경』에 보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일 중생으로서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자가 있..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