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려면 말투부터 바꿔라 ♣성공하려면 말투부터 바꿔라. 모든 사람에게 공짜로 주어지는 것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시간과 말이다.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이 달라지듯이,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천냥 빚을 갚을 수도 있고, 남에게 미움을 받을 수도 있다. 자신이 자주 쓰는 말을 객관..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2.08
노블리스 오블리제 (Noblesse Oblige)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로댕작 "깔레의 시민" (위 imge)도 불휴의 명작이지만, 이 작품에 숨은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숭고한 정신에 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을 따라 올라가면 '깔레'라는 작은 항구도시가 있다. 인구 12만인 이 항구는 영국의 도버해협과 불과 20마일밖에 ..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2.03
즐거워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어서 즐겁다! 즐거워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어서 즐겁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프리드 박사 연구팀은 사람이 웃는다는 것은 '뇌가 웃긴 상황을 인식해서 웃는 본능적인 신체 반응이 아니라 먼저 웃고 뇌가 그 웃음의 이유를 찾는 것' 이라고 말한다. 이유 없이 웃고 나도 90% 웃음의 효과를 낸다는 이야기입니다. 웃음..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2.02
율곡 이이의 효도법 <자경문(自警門) - 율곡선생이 쓴 자경문의 뜻을 기린 문> 栗谷 이 이(李珥)의 효도법 자식으로서 부모님을 섬기는 일, 정말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효도는 말로 하기는 쉬워도 실재로 하기는 어렵다고들 합니다. 율곡 선생은 부모를 모시는 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하신. 격몽요결(..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31
마지막 사랑의 여신 마리린 몬로(Marilyn Monroe) 마지막 사랑의 여신 마리린 몬로(Marilyn Monroe) 마리린 몬로의 본 이름은 노마 진 베이커는 강간을 포함하여 양부 등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여배우가 되었다. 마리린 몬로는 자신의 불우한 환경에서 도피하기 위하여 열여섯에 결혼을 했다. 1944년 방위 산업체에서 페인트 ..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8
인생 역전의 등용문 인생 역전의 등용문 과거엔 힘센 것이 약한 것을, 큰 것이 작은 것을 이겼다. 그러나 지금은 빠른 것이 느린 것을,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삼키는 시대이다. 사람은 누구나 어떤 분야에서든지 자기만의 노하우가 있다 그것을 발견해내는 것이 자신감의 시작이다. 사람은 정보이다. 만나서 교류하다 ..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8
행복의 문을 여는 방법 행복의 문을 여는 방법 일상의 풍요로움은 욕심의 그릇을 비워서 채우고 자신의 부족함은 차고 매운 가슴으로 다스리고 타인의 허물은 바람처럼 산들산들 흐르게 하라. 생각은 언제나 희망으로 깨어있게 손질하고 어떤 경우에도 주변 환경을 탓하지 말며 결코 남과 비교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7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韓國戰 參戰記-1952.철원 양구 펀치볼 UN군>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요즈음 무척이나「매스컴」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입니다. 1). 원래 「노블리스」는 (닭의 벼슬)을 의미하고「오블리제」는 (달걀의 노른자)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노블리스 오블리제」는 닭의 ..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2
[문학동네에 살고 지고…] 박완서의 '나목' 박완서(朴婉緖, 1931년 10월 20일 ~ 2011년 1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경기도 개풍(현 황해북도 개풍군) 출생으로, 세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서울로 이주했다. 1944년 숙명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교사였던 소설가 박노갑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작가 한말숙과 동창이다.1950년 서울대학교 국문학..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2
약속과 신뢰 약속과 신뢰 세상살이는 약속의 연속이다. 부모와 자식, 친구, 거래 당사자들과의 수많은 약속으로 인간관계가 이어진다. 그런데 약속을 하기는 쉽지만 지키기는 쉽지 않다. "약속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은 약속을 하지 않는 것" 이라는 역설적인 말이 나온 것은 약속을 실천하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뜻.. 행복의 정원/생활글 201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