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버릇 나쁜 버릇 어떤 홀아비가 세 딸과 함께 살고 있었다. 그는 딸들의 나이가 들수록 근심이 쌓이기 시작했다. 딸들이 모두 외모는 아름다웠지만 각자 하나씩 단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첫째 딸은 게으름을 피우고, 둘째 딸은 남의 것을 자주 훔쳤으며, 셋째는 남을 험담하는 결점이었다. 한편 이웃 마..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1.05
이룸의 7법칙 이룸의 7가지 법칙 1.통제의 법칙 (The Law of Controal) 자신이 삶을 제어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스스로 긍정적인 느낌을 갖게 되지만, 외부의 어떤 것이 자신을 제어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다. 심리학에서는 『통제의 원천 이론』 이라고 부른다. 거의 모든 스트레스와 불안, 긴장 그..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1.05
이런 남자를 만나라 ** 이런 남자를 만나라 ** 1. 운동을 즐기는 남자를 만나라. 운동을 배우는 자세부터 하는 모습, 즐기는 태도 등을 보면 그 사람의 성격 90%는 알 수 있다. 2. 음식을 즐기되 살찌지 않은 남자를 만나라.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은 절대사절. 인생의 반은 먹는 즐거움이다. 자기에게 주어진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1.03
이런 여자를 만나라 ** 이런 여자를 만나라 ** 1. 음악을 즐기는 여자를 만나라. 음악을 듣고 따라 부르고 음악의 가사를 느끼는 여자는 감수성이 매우 풍부하다. 2. 자신을 믿어 주는 여자를 만나라. 다른 사람이 모두 아니라 해도 끝까지 믿어주는 여자. 그런 여자는 남자에게 책임감이란 걸 심어 준다. 3. 술을 마시긴 하지..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1.03
가정을 무너지게 하는것들 - 가정(공동체)을 무너지게 하는 것들 - 1. 부정적인 자세에서의 "비교"입니다 잘못된 비교는 부부 자신에게 우울증과 무능함을 불러일으킵니다. 부정적인 비교에 빠지지 않도록 자신의 가족의 장점을 개발하고 계속 발전시키도록 부단히 노력하십시오. 2. "이기주의"입니다. 모든 사고가 자기 중심으로..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23
서로가 서로를 알아 간다는건 서로가 서로를 알아 간다는건 서로가 서로를 알아간다는 건 상대방의 모든 걸 헤집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이해하며 너그러이 바라 볼 수 있는지 노력하는 것은 아닐런지요. 서로가 서로를 알아간다는 건 마음을 들추어 억지로 캐내려 하는 것이 아니라 거짓없는 마음과 행동으로 자연스럽게 그 마음..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21
오늘의 명언 ★ 세상이 자기를 버렸다고 생각하지 마라. 세상은 나를 가진 적이 없다... [작자 미상] ★ 인생은 변하지 않는다. 단지 우리가 변할 뿐이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 인내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의 뜻을 이룰 수 있다... [벤자민 프랭클린] ★ 작은 실수가 더 큰 실패를 막을 수도 있다... [영국 속담]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21
때로는 멀리, 때로는 가까이 때로는 멀리, 때로는 가까이 가까이 있으면 추해 보이는 것도 멀리 있으면 매우 아름다워 보입니다 멀리 있으면 보이지도 않던 것이 가까이 가서 보게 되면 너무 너무 아름다운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렇고 보면 우리 삶도 때로는 멀리 보기로, 때로는 가까이 보기로 아름다운 모습만을 취할 수 있어..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20
소중한 친구에게 주고 싶은 글 소중한 친구에게 주고 싶은 글 친구라는 말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습니다. 우정보다 소중한 것도 없습니다. 나는 당신에게 아름다운 친구 소중한 우정이길 바랍니다. 가끔 사랑이란 말이 오고 가도 아무 부담없는 친구, 혼자 울고있을 때 아무 말 없이 다가와 "힘내"라고 말해줄 수 있는 당신은 바로 내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17
N.Q (Network Quotient) 공존지수 18계명 N.Q (Network Quotient) 공존지수 18계명 혹시 N.Q 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요즘 I.Q , E.Q와 더불어 N.Q(공존지수)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N.Q (Network Quotient)란 함께 사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얼마나 잘 운영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을 재는 것이라고하는데요 NQ 지수가 높을수록 사회에서 다른.. 행복의 정원/명상글 200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