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사람이란… 지혜로운 사람이란… 지식이 많다고 지혜로운 사람은 아니다. 간혹 어떤 사람은 많이 배운 지식으로 인해 오히려 오만하게 되어 지혜를 잃는 경우가 있다. 지혜의 첫 걸음은 자기가 미흡하다는 것을 아는데 있다. 지혜롭다는 것은 우선 고개를 숙일 줄 안다는 것이다. 유태인의 속담 중에..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6.06.09
단 한 번의 인생, 슬픔보다 기쁨의 볼륨 키워라 단 한 번의 인생, 슬픔보다 기쁨의 볼륨 키워라 아버지가 아들에게 준 8자 :조조가 비에게 양이지복 가득영년(養怡之福 可得永年)-기뻐하는 마음을 키우는 게 복이려니 가히 영년을 누릴 수 있다 [한자 풀이] 養 기를 양 怡 기쁠 이 之 어조사 지 福 복 복 可 옳을 가 得 얻을 득 永 길 영 年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6.05.14
물이 맑으면 달(月)이 와서 쉬고 물이 맑으면 달(月)이 와서 쉬고 물이 맑으면 달(月)이 와서 쉬고 나무를 심으면 새가 날아와 둥지를 튼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잘 먹고 잘 입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참된 도리(道理)를 깨달아 사람답게 살아야 하는 것이다. 설사 백년(百年)을 산다 할지라도 사람의 참된 도리를 모르고 산..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10.11
검은등뻐꾸기 울음 검은등뻐꾸기 울음 그제 어린이날 포천 어느 수목원에 갔다가 그 새소리를 들었다. 앞산 뒷산에서 문답하듯 '카카카코' 울었다. 네 마디 소리 중 셋은 같은 음이다가 마지막 하나는 뚝 떨어진다. 음계로 치면 미·미·미·도쯤이다. '뻐꾹 뻐꾹' 하는 뻐꾸기 소리보다 조금 낮아 더 울림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5.08
행복과 불행 행복과 불행 孔子가 조카 공멸(孔蔑)에게 물었습니다. “벼슬해서 얻은 것이 무엇이고, 잃은 것이 무엇이냐?” 공멸이 그 물음에 답했습니다. “얻은 것은 없고, 잃은 것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일이 많아 공부를 하지 못했고, 둘째는, 녹봉이 적어 친척을 돌볼 수 없었습니다. 셋..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5.04
익자삼우(益者三友) 익자삼우(益者三友) “부모 팔아 친구 산다.”는 말은 벗을 사귀는 참된 우정의 가치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우리 속담이다. 부귀영화를 누리지만 진실한 친구가 한 명도 없는 모습을 생각해보라. 암울한 삶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권력자가 될수록 스스로는 외로워지고, 부자가 될수록 주..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5.04
명상의 글 명상의 글 1, 사랑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것, 자녀가 열 명이라고 애정을 10분의 1씩 나눠주는 부모는 없습니다. 부모는 모든 자식에게 100% 이상의 애정을 주는 법입니다. 2, 사랑한 만큼 사랑받고 싶다. 보답을 기대한다면 그 사랑은 투자에 불과합니다. 참사랑은 한없이 주고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5.01
평생을 읽어도 너무 좋은 글 평생을 읽어도 너무 좋은 글 게으른 사람에겐 돈이 따르지 않고. 변명하는 사람에겐 발전이 따르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에겐 희망이 따르지 않고. 간사한 사람에겐 친구가 따르지 않는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겐 사랑이 따르지 않고. 비교하는 사람에겐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먹을 ..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4.30
懺悔 - 참회 懺悔 - 참회 지금 이미 사홍서원 세우기를 마쳤으니 선지식들에게 '무상참회(無相懺悔)'를 주어서 삼세(三世)의 죄장(罪障)을 없애게 하리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우치와 미혹에 물들지 않고, 지난날의 나쁜 행동을 일..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4.17
우리가 떠나는 것은 자연의 섭리 우리가 떠나는 것은 자연의 섭리 사람은 죽으면 누구나 한줌 흙으로 돌아간다. 호화로운 묘지 속에 묻힐 수도 있고 이름 없는 풀 섶에 버려질 수도 있으며 한줌 재가 되어 바람에 날려가기도 한다. 극락이니 천당이니 그런 것은 인간의 생명이 있는 동안에 관념 속에만 존재하는 이상향(.. 행복의 정원/명상글 201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