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양식/시사,칼럼

[특별기고] “숭례문이여 미안합니다”

풍월 사선암 2008. 2. 12. 00:11

[특별기고] “숭례문이여 미안합니다”

 

“어떻게 이럴 수가” 그 현장을 지켜보던 시민들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불난 집을 둘러서서 보기만 하던 끝에 집이 탈 대로 다 타고 나서 하는 말 같다.TV화면에서 전개되는 장면을 본 느낌도 다르지 않았다. 어쨌든 충분한 장비를 가지고 즉시 소화활동을 시작한 사정에 비춰볼 때 너무 무능한 대처결과에 대한 심정이 나타나 있는 말이다.

 

▲ 11일 숭례문이 전날 밤의 화마로 처참한 모습으로 변했다. 잔해는 국보 1호를 잃어버린

국민의 마음인 듯 처연하기 짝이 없다. 오른쪽은 1963년 ‘국보1호 남대문’으로

중수 준공식이 열렸을 때의 장엄하고 화려한 모습. 정연호기자

 

이층 천장과 기와 사이의, 말하자면 다락방 같은 공간에서 불이 난 것이 확실해 보인다. 이 공간에는 62년 보수 때 쓰고 남은 자재들이 보관돼 있었다고 하니 그것들이 지붕과 천장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타고 있었고 소방관들의 물줄기는 지붕과 천장만을 적셨을뿐 불길과는 만나지 못했다고 한다. 발화에서 붕괴까지 5시간 동안 물을 쏘아댔지만, 사실은 서서 불구경만 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그 결과가 “어떻게 이럴 수가”가 된 것이다. 없기보다는 못하겠지만 훨씬 적은 손실로 수습될 수 있었던 사고가 지켜야 할 대상 모두를 없애버리고 말았다. 세상이 훨씬 험악해서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던 때하고는 달리, 그래도 될만한 일은 되고 안될만한 일은 안되는 모양새는 되는 줄만 알고 살고 싶은데 또 이렇다.


서해 바다의 기름 참변은 옛날에는 없던 물건들을 엉성하게 다루다가 생긴 참변이고, 숭례문은 옛것을 제대로 간수하지 못해 겪는 손실이다. 옛것을 유지하고 새 것을 잘 다루어야 하지 않겠는가. 옛날의 전쟁에서도 살아남고, 가까운 전쟁에서도 살아남은 문화유산을 없애버리고 말았다. 날이 밝고나서 TV 화면에 드러난 모습은 더욱 보기 민망하다.“이 애비는 할 말이 없데이.”

 


왜 그런지 오래지 않은 전날에 우리가 함께 들은 그런 말이 문득 떠오른다. 또 끊임없이 보고 들으면서 지내는 행방불명이 된 어린이들의 사진이 문득 떠오른다. 함께 사는 사람동네에서 무엇인가 잘못된 구석이 있어서 울려오는 경고의 소리들이다. 슬퍼하기도 좀 지긋하게 하고 즐거워하기도 좀 지긋하게 하고 그렇게 살아야 하는데. 처음부터 그런 이치를 알고 태어나는 수는 없는 법이지만 세월이 지나다 보면 조금씩은 나아져야 하는데. 세상에는 못된 일만 있고 못된 사람만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드러나지 않은 곳에서 이름 없는 훌륭한 인생을 사는 사람도 셀 수 없이 많다는 소식도 우리는 저 화면을 통해서 평소에 많이 소개받고 있다.

 

그런데도 나라의 얼굴같던 유산 하나가 이렇게 “이럴수가”가 되기도 한다는 말이다. 작은 일을 가지고 요란법석을 떨고 큰 일을 태연히 잊어버리고, 멀지 않은 지난날에 제 이름도 남이 지어주고 제 말도 하지 못하고, 남의 말을 제 말처럼 해야한다고 글하는 사람들이 앞장서서 주장하다가 그 입에 침이 마르기도 전에 다른 세상이 오면 속옷 뒤집어 입듯이 다른 말을 하고. 이웃의 희생 위에서 행복해지는 것이 세상이치이기나 되듯이 굴기. 아 이런 이야기를 하자던 게 아닌데. 다 아는 일. 눈앞에 “어떻게 이럴수가”가 또 나타나니 놀라고 씁쓸한 마음에 또 옛노래가 살아나는구나.“이 건물은 2008년에 전소되었다가 아무아무해에 재건된 것임” 미래세대는 그런 안내문이 적힌 이 건물의 복제품을 보게 되겠지. 졸지에 “옛 숭례문 시대”를 살아온 사람이 된 마당에 허망한 마음이 글을 지으려고 보니 이렇게 갈피없이 뒤숭숭해져 버렸다. 오늘 새벽 문루가 마침내 흙처럼 무너져 내릴 때 화면에서는 엇, 엇, 하는 소리가 일어나고 누군가 엎드려 절하는 모습도 있었다. 사람 마음이 그리 다를 게 없겠지. 나도 그런 느낌과 다른 무슨 말을 하겠는가. 그러면 이쯤에서 숭례문이여 미안합니다.


최인훈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