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 독도]<하>실효지배 강화 방안은 [우리땅 독도]<하>실효지배 강화 방안은 ▶ 영남대 독도연구소가 독도 인근에 3개의 부유구조물을 연결해 유인화하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했다. 공항·항만(위), 해양플랜트 예상도. 일본 방위성이 최근 2008년판 방위백서에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주장을 명시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 생활의 양식/시사,칼럼 2010.05.15
[우리땅 독도]<중>생태·자원의 보고 150조 바다밑 황금 '메탄 하이드레이트' 잠잔다 [우리땅 독도]<중>생태·자원의 보고 일본이 그토록 독도에 집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說)이 있지만, 해양자원을 노린다는 주장이 가장 유력하다. 그만큼 독도의 바닷속은 보물창고다. 독도는 입도도 제한돼 있고 거주자에게 낚시조차 .. 생활의 양식/시사,칼럼 2010.05.15
[우리땅 독도]<상>바다밑 속을 들여다보니 [우리땅 독도]<상>바다밑 속을 들여다보니 "울릉도보다 수백만년 먼저 태어난 형님 섬" 독도에서 첫발을 내딛는 곳은 동도 접안시설이다. 그곳 준공기념비에는 이런 글귀를 새겨놓았다. 대한민국 동쪽 땅끝, 휘몰아치는 파도를 거친 숨결로 잠재우고 우리는 한국인의 얼을 독도에 심었노라. 독도에.. 생활의 양식/시사,칼럼 2010.05.15
한국의 집요한 침묵이 독도를 지켰다 "한국의 집요한 침묵이 독도를 지켰다" "1965년 한·일회담이 지금의 독도 분쟁 빌미" 주장을 반박하는 논문 나와 日의 독도문제 의제 설정을 거부 우리의 실효적 지배 굳히는 결과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1965년 한·일 회담을 통해 한국은 독도 문제에 대한우위를 확보했다"는 내용의 논문이 나왔다... 생활의 양식/시사,칼럼 2008.12.17
독도가 한국 영토 인지에 대한 역사적 자료 독도가 한국 영토 인지에 대한 역사적 자료 출처:이 자료는 독도연구보존협회 '신용하' 회장님께서 그 동안 모아오신 역사자료입니다. 생활의 양식/역사,인물 2008.07.29
낯선 배를 타고 온 이방인들… 왜 독도를 `리앙쿠르` 巖이라 했나 낯선 배를 타고 온 이방인들… 왜 독도를 `리앙쿠르` 巖이라 했나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이 1737년 그린 조선왕국지도 일본이 또 독도 도발을 감행한 시점에 미국 의회도서관이 독도를 리앙쿠르 암초로 바꾸려다 유보했다. 그런데 왜 독도도,일본이 주장하는 다케시마(竹島)도 아닌 리앙쿠르 암초일까. 1.. 생활의 양식/역사,인물 2008.07.19
독도는 우리땅 - 정광태 독도는 우리땅 / 정광태 1절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2절...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동경 132 북위 37 평균기온 12도 강수량은 1300 독도는 우리땅 3절... 오징어 꼴뚜기 대구명태 거북이 연어알 물새알 해녀.. 음악의 산책/우리음악 2008.07.17
독도가 국제표준 지명(地名) 독도가 국제표준 지명(地名) 1967년 유엔지명표준화회의서 결의 야후 등 인터넷 백과사전엔 '리앙쿠르암' 많아 대처 필요 '독도'가 국제 표준 지명인 근거는 1967년 유엔지명표준화회의(UNCSGN) 1차 총회 결의문 1-4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결의문은 국제 표준 지명에서 "가급적 '엑소님(exonym·외국어 지명)'의.. 생활의 양식/역사,인물 200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