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양식/시사,칼럼

[청계천 새물길 열렸다] 황병기교수의 산책기

풍월 사선암 2010. 8. 24. 17:27

[청계천 새물길 열렸다] 황병기교수의 산책기

 

나는 1936년 서울 북촌의 가회동에서 태어나 그 동네에서만 살다가 74년 비로소 서대문 밖의 북아현동 꼭대기로 이사 온 후 지금도 그 곳에서 살고 있다. 이렇게 서울에서만 살아온 토박이여서 지난 94년 서울 정도 600주년 때는 자랑스러운 서울시민의 한 사람으로 뽑히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어린 시절의 추억 중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의 하나가 삼청동 계곡의 시냇물에서 바위 뒤에 숨어 있는 가재를 잡아다가 집에서 놋대야를 놓고 기르던 일이다. 맑은 수돗물에서 사는 것을 가재가 싫어하기 때문에 흙과 돌까지 퍼 와서 대야의 물을 가급적 시냇물과 흡사하게 만드느라 고생했다.

 

▲ 서울토박이 부부인 황병기 이화여대 명예교수와 소설가인 한말숙씨가 새로 태어난 청계천변을

거닐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이 삼청동의 맑은 물줄기를 따라 계속 남쪽으로 내려가면 경복궁 동편으로 해서 중학동을 지나 결국 청계천이 되어 서울 중심부를 동쪽으로 흘러갔다. 그 당시도 개울물이 그다지 맑아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가끔 아낙네들이 빨래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빨래할 정도의 물은 되는가 보다고 생각했다. 하기는 이름이 ‘청계천’이니 옛날에는 오죽 맑은 물이었을까 하고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다.

 

그 후 청계천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50년대에 박태원의 장편 소설 ‘천변풍경’을 읽으면서이다. 이 소설은 청계천 부근에서 사는 서민들의 삶을 다룬 단편소설집인데, 이 단편들을 계속해서 읽으면 하나의 일관된 장편소설이 되는 이른바 옴니버스식 소설이다.

 

이 소설을 읽은 후 청계천은 단순한 냇물이 아니라 서울 사람들의 애환이 서려 있고, 서울의 혼이 담겨 있는 정다운 물로 느껴지게 되었다.

 

47년만에 열린 청계천…서울이 즐겁다. 서울 청계천에 날이 밝았다. 닫혔던 청계천이 열리고, 고가도로가 사라진 청계천에 새로운 물길이 어두운 과거를 뒤로 물리치고 미래를 향해 흐르기 시작했다.47년 만에 시민품으로 돌아온 청계천에 아침 햇살이 비추자 하늘과 땅과 물이 어우러져 황금빛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60년대부터 서울 인구의 폭증과 산업화의 급류 속에서 청계천은 차츰 악취가 풍기는 구정물처럼 변하고 인근은 다닥다닥 붙은 판잣집 촌의 모습이어서 서울의 치부처럼 느껴졌다. 사실 외국에서 손님이라도 오면 보이는 것이 창피할 정도였다.

 

그래서 60년대 말에 복개공사가 이루어져 이 치부가 말끔히 사라지자 시민들이 박수를 치기도 했다.70년대에는 청계고가도로가 건설되자 그 위를 차로 달릴 때 바라보이는 빌딩들이 한국 산업화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세월은 흘러 21세기에 들어왔다. 그동안 서울은 한강의 기적을 이루고 강남시대를 맞이했지만, 나는 여전히 강북에서 그리고 청계천 북쪽의 북아현동 꼭대기를 지키고 있다.

 

그동안 어언 정년퇴임을 하고 이문동의 옛 중앙정보부 자리에 있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문화원에 출강을 하게 되었는데 그 때마다 청계고가도로를 이용했다.

 

그런데, 어느 날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청계천을 다시 복원한다는 뉴스를 듣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엉뚱하기도 하고 기발하기도 한 뉴스였다.

 

처음에는 시민들로부터 온갖 걱정과 염려를 사고 진통을 겪었지만 차츰 청계천 복원이 일종의 희망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불과 2년여 만에 이것이 먼 장래의 일이 아니라 바로 목전의 현실로 다가오고 인터넷상에 복원된 청계천의 환상적인 가상사진이 뜨기 시작했다.

 

60년대의 청계천 복개가 문자 그대로 부정적인 옛 것을 덮어서 없애버린 것인데, 오늘의 청계천 복원은 그 옛 것에 대하여 오히려 자부심을 가지고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되살려 낸 것이니 가히 청계천의 기적이 이루어진 것이다.

 

지난 9월29일 나도 꿈의 청계천 복원현장을 아내(한말숙·소설가)와 함께 설레는 마음으로 둘러 보았다. 처음에 청계천 광장을 지나 산책로로 내려가자 상전벽해라기보다도 천지개벽이 이것이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과연 서울은 위대하고 대한민국은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최선을 다하여 복원한 흔적이 역력한 광통교를 흥미롭게 살피고, 풀밭사이의 산책로를 걸으면서 징검다리도 건너보고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는 192m 길이의 도자벽화 정조반차도도 흥미롭게 보았다.

 

더구나 이 반차도는 옛 군악대인 취타수들의 연주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주는 국악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여서 더욱 반가웠다. 그러나 한참 걸어가다 보니 차츰 지루해지고 허전한 마음이 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왜 그럴까하는 의문이 고개를 들었다.

 

그러자 청계천 복원도 문명의 힘으로 밀어붙인 인공물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는 없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복원된 청계천이 앞으로 오랜 시간을 두고 잘 가꾸어지면서 연륜과 역사가 더해지고 서울 시민들의 삶과 자연스럽게 한 살이 되기 위하여서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진입계단으로 올라와 한동안 청계로 위의 난간 쪽 보도로 걸었다. 그런데 이 보도의 폭이 두 사람도 함께 걸을 수 없이 좁아서 휠체어는 물론 유모차조차 다닐 수 없는 길 아닌 길이라는 것은 참으로 실망스러웠다.

 

우리는 자연과 문화와 역사에 대하여 좀 더 겸허하고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제부터 꾸준히 청계천을 가꾸어가야 할 것이다.

 

황병기 (이화여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