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가게 30년, 평생 모은 400억… 가난한 학생들 위해 내놓습니다
김영석·양영애 부부, 고려대 기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사는 김영석(91·사진 오른쪽)·양영애(83)씨 부부는 30여년간 서울 종로5가에서 과일을 팔았다. 1960년 손수레 노점으로 시작했다. 교통비를 아끼려 매일 새벽 한 시간씩 걸어 도매시장에서 과일을 떼왔다. 밥은 노점 근처 식당 일을 도와주고 얻어먹는 해장국으로 해결했다.
두 사람은 초등학교 졸업장도 없다. 북한 강원도 평강 출신인 김씨는 광복 후 혼자 월남해 남의 집 머슴살이를 했다. 경북 상주 출신인 아내 양씨도 6·25로 피란 다니며 떨어진 사과를 주워다 팔았다. 부부는 과일 장사로 번 종잣돈에 대출을 보태 1976년 청량리 상가 건물을 한 채 샀다. 주변 건물을 하나씩 사들일 때도 부부는 남들이 내놓은 옷을 얻어다 입었다. 환갑, 칠순, 팔순 잔치도 마다했다.
▲김영석·양영애 부부
두 사람은 이렇게 마련한 청량리 일대 땅과 건물 여덟 채를 25일 고려대에 기부하기로 했다. 고려대는 "시가로 400억원 가치"라고 했다. 개인 기부자로는 고려대 역사상 최고 액수다.
25일 오전 청량리동 집에서 만난 노부부는 "후련하고 뿌듯하다"고 했다. 아내 양씨는 "평생 돈을 쓰고 살아본 적이 없어서 어디에다 써야 할지 몰랐다"고 했다. "큰돈이니 큰 데다 써야겠다고 생각해 대학에다 기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고령으로 이야기하기 힘든 남편을 대신해 아내가 설명했다.
부부는 지금까지 어디에 기부를 해 본 적이 없다. "장사하고 땅 사고 건물 사느라 벌인 빚 갚느라 현금을 쥐고 있을 새가 없었다"고 했다. 전 재산을 대학에 주자고 이야기한 것은 두 사람 모두 아픈 데가 늘면서부터였다고 한다. 양씨는 "남편 정신도 흐릿해져 가고 나도 뇌경색 진단을 받아 더 망설여선 안 될 것 같았다"고 했다. "정신이 있을 때 기부를 해야 할 것 같아서 몇 달 전에 남편과 필담(筆談)으로 합의했어요. 저이가 귀가 잘 안 들려서."
고려대에 기부하기로 한 데는 아들 영향도 있다. 큰아들 김경덕(58)씨는 고려대 토목공학과 79학번이다. 부부의 집과 가까운 고려대가 잘돼 이웃 상인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도 있었다. 양씨는 지난 6월 고려대 법인 사무실로 전화를 걸어 기부 의사를 밝혔다. 양씨 전화를 받은 정인표 고려대 법인운영팀장은 "전화로는 별말씀 안 하셨는데 열흘 후 직접 학교에 찾아오셔서 설명하실 때 기부 규모를 듣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감사패 건네는 염재호 총장 - 고려대에 전 재산 400억원을 기부하기로 한 김영석·양영애(왼쪽부터)씨 부부가 25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에서 염재호(가운데) 총장으로부터 감사패를 받고 있다. 오른쪽은 김재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두 아들도 부모 결정에 동의했다고 한다. 아들들은 20대에 미국으로 건너갔다. 양씨는 "다들 쉰 살이 넘었고, 집도 한 채씩 장만했으니 부모 도움 없이도 살 만한 수준이 됐다"고 했다. 부부 거실에는 가족사진이 걸려 있었다. TV 옆에는 큰손자의 미국 예일대 법대 졸업식 사진이 놓여 있었다. 미국 뉴욕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고 했다. "그래도 자녀가 아쉬워하지 않겠느냐"고 하자 양씨는 한참 자녀 자랑을 했다. "우리 큰며느리는 이화여대를 나왔는데 생활력이 정말 강해요. 마음씨도 고와서 애들도 얼마나 잘 키웠다고요. 큰손자는 키가 180㎝가 넘는데 인물도 얼마나 좋은지…."
부부의 아파트에 있는 소파와 장롱은 색이 바래 있었다. 소파는 40년 전 양씨가 언니에게서 얻은 것이고, 장롱은 부부가 40년 전 서울 종로 파고다가구점에서 장만한 '생애 첫 옷장'이라고 했다. 그 전까지는 옷을 종이 상자에 넣어 보관했다. 두 사람은 차도 없다.
6년째 부부의 집에서 집안일을 돕는 이옥희(58)씨는 "두 분 모두 쓰고 난 비닐봉지 한 장도 함부로 버리지 못하게 하신다"고 했다. 양씨가 입은 라운드 티셔츠는 30년, 바지는 20년 된 것이라고 했다. 거실에는 옷이 든 종이 상자도 있었다. 나중에 입으려고 다른 사람에게 얻어 온 것이다.
노부부 소유 건물에는 카페와 식당 등 점포 20여개가 입주해 있다. 임대료를 크게 올리지 않아 대부분 20년 이상 장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1977년부터 노부부의 건물에서 족발 가게를 운영해 온 이준희(76)씨는 "40년 넘게 봐왔지만 화려하게 옷을 입거나 화장한 모습을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이씨는 "청량리에서 임대료 갈등 없이 상인들이 한자리에서 이렇게 오래 장사한 건물은 여기밖에 없다. 존경스러운 건물주"라고 했다.
고려대는 노부부 뜻에 따라 기부받은 건물과 토지를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등으로 쓰겠다고 밝혔다. "어렵게 모은 돈을 한 번의 기부로 내놓는 게 아깝진 않으냐"고 하자 양씨는 준비라도 한 듯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평생 '노랑이(구두쇠)' 소리 듣던 나 같은 밑바닥 서민도 인재를 기르는 데 보탬이 될 수 있구나, 이 생각에 정말 기뻐요."
400억원 재산을 기부하러 서울 안암동 고려대에 가기 전 부부는 집에서 점심을 먹었다. 반찬은 김치와 콩나물무침, 고추장아찌 세 가지였다.
조선일보 입력 2018.10.26 03:00
'생활의 양식 > 역사,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지 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별세, “품위있는 행동으로 야망 다스리다 떠났다" (0) | 2018.12.02 |
---|---|
“다 내려놓을게요” 영웅이 된 부자들 (0) | 2018.10.30 |
자기관리 노력과 호날두 (0) | 2018.09.25 |
80세에 좀 쉬어봤는데 노는 게 더 힘들어…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의 인생론 (0) | 2018.08.07 |
용감한 지식인 에밀 졸라와 드레퓌스 사건 (0) | 201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