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생활/건강,의학

베스트 닥터 <19>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영 교수

풍월 사선암 2014. 8. 17. 18:30

음지의 병 치매, 양지로 끌어내 환자 삶 개선

베스트 닥터 <19>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영 교수

 

중앙SUNDAY와 건강포털 코메디닷컴이 선정하는 베스트 닥터의 치매(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분야에선 서울대병원 이동영(49) 교수가 선정됐다. 이는 중앙SUNDAY와 코메디닷컴이 전국 11개 대학병원의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교수 41명에게 가족이 아프면 믿고 맡길 수 있는 의사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기본으로 하고, 코메디닷컴 홈페이지에서 전문가들이 추천한 점수와 환자들이 평가한 체험점수를 보태서 집계한 결과다. 치매 치료는 신경과와 정신건강의학과 등 두 진료과에서 주로 담당한다. 신경과에선 삼성서울병원 나덕렬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김상윤 교수가 공동 1위를 차지했다.

 

1990년대 초만 해도 치매는 병이라기보다는 쉬쉬하는 가족 문제였다. 의사들도 관심을 갖지 않았다. 제대로 된 진단법도, 약도 없었다. 의사들은 가벼운 증세의 환자 가족에겐 아직 괜찮다고 안심시켰다. 중환자 가족에겐 해 드릴 것이 없다며 위로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영(49) 교수는 스승 우종인 교수와 함께 음지의 병인 치매를 양지에 올려놓아 환자들의 생활이 달라지게끔 초석을 다진 의사로 평가받는다. 우 교수는 91년 전공의 1년 차인 이 교수를 불러 지금은 치매에 대해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지만 곧 가장 주목받는 질병으로 떠오를 것이라며 치매와 함께 임상약리학을 공부할 것을 권했다. 이 교수는 우 교수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신상구 교수에게 약물 원리를 전수받았다.

 

아니나 다를까, 스승이 예언한 대로 93년 미국에서 첫 치매 치료제가 개발됐다. 사제는 94년 국내 최초로 치매 및 노화성 인지감퇴 클리닉을 개설했다. 같은 해 한국치매협회를 창립했다. 이 교수는 치매임상평가집(CERAD-K)을 개발했고 전국의 치매 클리닉 60여 곳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 평가지표를 사용하도록 보급했다.

 

이 교수는 고3 때 성속(聖俗)의 경계에서 고민을 거듭했다. 신부가 되고 싶었지만 세속의 행복을 버릴 자신이 없었다. 그는 서울대 의대에 진학한 뒤 가톨릭학생회(CASA)에 가입, 주말엔 서울 구로공단, 여름엔 농촌으로 진료 봉사를 떠났다.

 

이 교수는 군의관·전임의를 마치고 경기도 용인시의 경기도립노인병원에서 33개월간 환자를 돌봤다.

 

의사 경험에 소중한 주춧돌이 됐습니다. 대학병원엔 주로 초기 환자가 오고, 말기 환자는 요양병원이나 요양소로 가지요. 도립노인병원엔 초기부터 말기까지 모든 환자가 있어서 다양한 환자와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었어요.”

 

이 교수는 2003년 서울대 의대 교수로 발령받았다. 그는 3년 뒤 서울시광역치매센터를 설립했다. 당시는 90년대보다는 치매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환자와 가족들이 실질적인 도움은 받지 못하는 상태였다. 정부에선 치매를 일찍 발견해 치유하는 것보다 중증 환자를 수용하는 시설에 더 관심이 높았다. 이 교수는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을 설득해 관악구에서 실시하고 있던 치매 관리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고 서울의 25개 구 전역으로 확대했다.

 

각 구청의 치매지원센터는 치매 예방과 인식 개선 홍보사업을 벌였고 무료 검진을 실시했다. 게임·음악·미술 등으로 기억력을 유지하게 하거나 정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했다. 가족의 아린 가슴을 보듬는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환자에게 이름표·기저귀도 지원했다. 환자들의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해 치료와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교수는 2008~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알츠하이머 뇌영상연구소에서 교환교수로 일했다. 찰스 디칼리 교수와 함께 양전자단층촬영(PET)·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으로 치매를 조기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의 치매 조기진단 예측 시스템 개발사업의 총책임자로 임명됐다. 서울대 생화학과 묵인희, 성균관대 진단검사의학과 김종원, 조선대 뇌신경과학과 이건호, 컴퓨터공학과 이상웅, 한양대 의용생체공학과 이종민 교수 등과 함께 국내 치매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과거엔 환자가 숨진 뒤 부검을 하는 것이 거의 유일한 치매 확진법이었어요. 지금은 PET를 통해 겉보기엔 멀쩡하지만 증세가 진행되는 사람을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증세가 나타나기 10~20년 전에 진단이 가능해졌지요. 정확하게 환자를 찾아내 치매 치료약의 효능까지 검사할 수 있게 됐지요.”

 

이 교수는 아직은 치매의 완치약이 없지만 환자와 보호자에게 어떤 식으로든 도움을 주려 노력한다. 아무 방법도 없으면 손이라도 잡아 기운을 불어넣으려고 애쓴다. 초진에 반드시 20~30분을 할애하려고 마음먹었지만 전국에서 환자가 밀려와 지난해부터는 제자들이 30분 예진을 보고 이 교수가 10분가량 만나는 방식으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