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가 세계적 부국이 된 내력
‘루체른의 빈사의 사자상" (The dying Lion of Luzern)
세계에서 손꼽히는 부국 중 하나인 스위스. 그러나 예전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국토의 대부분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끊임없는 가난이 이어졌다.
그래서 발달한 산업이 군인 수출, 즉 용병 산업이었다.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많은 남성들이 기꺼이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해외로 나가 싸웠던 것이다.
< 루체른의 빈사의 사자상(Lowendenkmal) >
스위스 루체른에 ‘빈사의 사자상’이라는 세계적인 조각상이 있다.
바로 프랑스 혁명 당시 왕인 루이 16세와 왕비 마리 앙뚜와네뜨 일가를 보호하다 전멸한
786명의 스위스 용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덴마크의 투르발센이 조각한 것이다.
미국의 문호 마크 트웨인은 ‘빈사의 사자상’을 보고 ‘너무 슬프고 가슴 아픈 바위’라고 말했다고...
이들은 자신들을 고용했던 루이 16세를 위해 프랑스 시민군에 맞서서 목숨을 바쳤다.
프랑스 시민군이 그냥 도망갈 것을 권했을 때
“우리가 살기 위해 도망간다면 후세에 누가 우리 스위스 인들에게 용병 일을 맡길 것인가?”
라며 목숨을 건 전투를 마다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스위스 용병의 신화를 뒷받침해 준다.
실제로 예전 유럽 사람들에게 스위스 용병은 공포의 상징이었고
우는 아이도 스위스 용병이라는 말만 듣고 울음을 그쳤다고 한다.
또한 그 전통이 이어져 현재도 바티칸 국의 교황청을 지키는 군인들도 스위스 용병들이다.
이런 스위스 용병들의 용맹함은 나라를 지키는 근본이 되었으며,
극한 상황에서 약속을 지키는 모습은 현재까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스위스의 각종 비즈니스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도 많은 경우 신의를 지켜야 할 상황에서 주저하게 된다. 다양한 이유가 있다. 특히 극한 상황에서 그런 것이 나에게 도움이 될까 생각을 하면 그렇지 않다가 답일 경우가 많다. 그것은 아주 근시안적인 생각일 뿐이다. 말 그대로 우리는 기나긴 인생을 살게 된다. 때로는 내 후손들이 나의 명성을 이어받을 수도 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신의에 어긋나는 일에 대해 당장의 편리에 의해 쉽게 결정할 수 있을까?
스위스 국민들은 지독한 가난 때문에 용병이라는 슬플 수밖에 없는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가난했어도 절대 자신을 고용한 사람들에 대해 신의를 저버리는 일은 없었다. 심지어 자신을 고용한 왕이 시민들에 의해 죽음을 당할 때도 끝까지 최후를 함께 했다.
이것은 훗날 스위스라는 나라에게 큰 힘을 가져다주었다. 믿고 맡길 수 있다는 이미지를 주위 사람들에게 확실히 심어준 것이다. 그래서 교황청도 오늘날까지 계속 방위를 스위스 사람들에게 맡긴다. 예금주에 대한 비밀을 반드시 지켜주는 스위스 비밀은행 비즈니스도 그런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능할 수 있었다.
우리는 어떠한가?
눈앞의 이득에 급급하여, 혹은 불이익을 피하고자 신의를 저버리지는 않았는가? 믿음과 신뢰보다는 눈앞에 보이는 득과 실이 중요한가? 현재가 아닌 미래를 내다보자. 우리가 지킨 약속은 반드시 우리에게 보답을 하게 되어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단 하나, 약속을 했다는 사실이지, 약속을 왜 지켜야 하냐는 이유가 아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