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교실/명리학

성명학(2)-자원 오행론(字源五行論)

풍월 사선암 2012. 1. 18. 11:08

4. 자원 오행론(字源五行論) 성명학

 

자원 오행론(字源五行論)

한자는 표의(表意) 문자로서 글자 하나 하나에 뜻이 담겨져 있으며 글자 자체의 성립 과정(부수)과 뜻(字意)에 따라 모든 자()를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오행에 적용한 것이 자원오행(字源五行)입니다. 사람의 사주(생년월일시)에서 필요한 오행을 이름자의 오행(자원오행)에서 보완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 자원오행론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 태어난 날이 (''日主)인데 사주 전체에 물()이 많은 사람이 이름 자()''자나 ''자를 이름으로 사용했다면 원래 타고 난 팔자(四柱)에 물()이 많아 나무()가 땅에 뿌리를 내리질 못하고 쓰러져 가고 있는 형국에 ''()''()자를 사용하여 물()을 더 많게 하면 그 나무는 곧 뿌리도 썩게 되고 흐르는 물에 떠내려가는 나무 토막(浮木)이 되는 운명이다. 따라서 그 사람의 운명은 주거가 항시 불안하고 직업이 자주 변동되며 하는 일마다 실패 속에 안정된 생활이 결여되고 일생을 통해 마땅한 정착지가 없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태어난 날이 나무(''日主)인데 사주 전체가 불()로 쌓여 있다면 이는 목마른 나무가 될 것이다. 이런 사주를 타고난 사람에게 ''(빛날 현자로 ''가 있음)자나 ''(비칠 영자로 ''변인데 ''은 곧 태양이므로 ''를 의미함)자 또는 ''(빛날 희자로 변은 곧 ''를 뜻함)자를 쓴다면 나무()는 불() 때문에 곧 타서 재가되는 이치 처럼 그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고난·고초가 많고 성공은 잠시요, 일순간에 망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1) 자원오행 정하는 법

(1) 글자(한자)의 부수에 따라 자원오행을 정합니다.

(2) 글자의 뜻(字意)에 따라 자원오행을 정합니다. 글자 자체가 방위·오행을 가리키는 것이 있고, 글자의 뜻(字意)으로써 오행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字意에 의한 자원오행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원 오행

(字)

東 靑 仁 甲 乙 元 肝 魂 酸 目 怒

人 寅 卯

南 赤 禮 丙 丁 享 心 神 苦 皮 喜 二 七 午 巳

戊 己 信 中 黃 統 脾 意 甘 口 思 五 十 辰 戌 丑 未

西 白 義 庚 申 利 肺 辛 鼻 悲 四 九 酉 收 燥

北 黑 智 壬 癸 貞 腎 精 鹽 耳 恐 一 六 亥 子

 

2) 자원 오행론 적용 실례

위의 학설을 보다 전문적으로 설명한다면 사주 격국(格局)에 용신(用神)과 부합되는 글자를 이름에 넣어 주면 운세가 상승할 수 있고 후천적 복록이 증가될 수 있다는 말이다. 다음과 같은 사주를 에로 살펴 본다.

 

(丙子年, 己亥月, 乙亥日, 丙子時 출생한 사주)

시 일 월 년

丙 乙 己 丙

子 亥 亥 子

 

火 木 土 火

水 水 水 水

 

본 사주는 乙木이라는 화초가 음력 10월인 亥水월에 태어났고 사주에 물이 너무 많고 화초가 곧 얼어죽게 되어 있는데, 사주 丙火라는 태양이 년과 시에 있으니 불행중 다행이다. 따라서 위 사주에 가장 큰 힘이 되고 받침이 되는 것이 이라는 이므로 이름을 지을 때도 날 일()변이 있는 (비칠 영)자나 (매울 열)자로 변은 로 사주 용신(用神)과 부합하므로 마치 철에 따라 맞는 의복이 있듯이 자기 몸을 보호해 주고, 멋을 내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시 일 월 년

丙 丁 丙 丁

午 未 午 巳

 

()왕절 태생으로 巳午未火局을 이루었으니 전형적인 일행득기격이요 염상이다. 종격으로선 완전무결하니 대부 대귀격이다. 목화(木火)운엔 대발하고 금수(金水)운엔 치명적인 타격과 재난을 격는다. 이럴 경우 음령오행이나 자원오행에서 목(), () 글자로 이름을 작명하여야 한다.

 

5. 자음 오행론(字音 五行論)

 

자음 오행론(字音 五行論)

자음오행이란 글자의 소리 그 자체, 즉 소리 전체가 가지고 있는 오행의 기운을 바탕으로 글자의 오행을 정하는 원리이다.

 

이란 소리()는 음령오행에서 말하는 기운(받침)이 아니라 십천간 중 하나인 경금(庚金)의 소리와 같으므로 강력한 경금(庚金)기운이 작용하는 소리이므로 오행상 으로 본다. 또한 이란 소리도 소리 그 자체로서 각기 강력한 기운과 기운을 가지고 있건만 음령오행을 맹신할 경우에는 이와는 정반대로 기운(받침) 기운(받침)으로 보게 된다.

 

이것이 음령오행이라는 이론의 맹점이자 한계점이다.

 

음령오행이라는 이론은 어디까지나 글자 소리전체의 오행(자음오행)에 종속되거나 동화되어 버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이론으로서, 단지 소리전체가 뚜렷한 기운을 갖지 못할 경우에 한하여 차선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강력한 자음오행을 가지고 있는 소리는 그리 많지가 않다. 그러므로 자음오행만으로 이루어진 성명을 갖기란 쉽지가 않다.이런 경우는 자음오행의 의미를 가진 소리는 자음오행으로 파악하고, 음령오행의 의미만 있는 소리는 음령오행으로만 파악하면 된다.

자음 오행으로 봤을 때

음령 오행으로 봤을 때

乙 木

丁 火

强 水

 

소리는 다른 소리를 만나 어우러지면서 다양한 기운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자음오행에서 ''은 크고 강한 기운을 가지고 있지만 자음오행에서 기운을 가지고 있는 ''이란 소리와 어우러지게 되면 ''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여 '강철()' 이 되니 기운에서 기운으로 변하게 된다.

 

음령오행에서 ''기운(받침)이 작용하고, ''기운(받침)이 작용하지만 서로 만나 '장미'가 되면 을목(乙木: ) 기운을 가진 자음오행이 작용하게 된다.

이 름

소리오행(자음오행 또는 음령오행)

(음령) → 壬水(자음)

(음령) → 丁火(자음)

(음령)

 

6. 음양 화합론(陰陽 和合論)

 

음양 화합론(陰陽 和合論)

이름의 수리를 맞출 때도 음양의 조화를 고려하여 작명해야 한다. 글자의 음양구분은 획수에 의해서 결정한다. 글자의 획수가 홀수 일 때는 ""이고 짝수일 때는 ""이다. 10수를 초과하는 수는 10단위를 뺀 나머지를 기준으로 음양을 판별한다.

 

1)이름이 석자인 경우

 

- 조화된 음양 배열 ()

양 양 음 ( ○ ○ ●)

양 음 양 ( ○ ● ○)

양 음 음 ( ○ ● ●)

음 양 양 ( ● ○ ○)

음 양 음 ( ● ○ ●)

음 음 양 ( ● ● ○)

 

- 조화되지 않은 순음,순양의 배열()

양 양 양 ( ○ ○ ○)

음 음 음 ( ● ● ●)

) (8) (5) (6) : 8() 5() 6() --> 음양의 조화 만족

이름의 수리도 음이나, 양 한쪽으로 편중되지 말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2)이름이 두자인 경우

 

- 조화된 음양 배열 ()

양 음 ( ○ ●)

음 양 ( ● ○)

 

- 조화되지 않은 순음, 순양의 배열()

양 양 ( ○ ○)

음 음 ( ● ●)

 

3)이름이 네자인 경우

 

- 조화된 음양 배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화되지 않은 순음, 순양의 배열()

○ ○ ○ ○ ● ● ● ●

 

음양 배열에서도 사주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사주 8자중 음양의 분포가 어떠한가를 자세히 살펴서 사주에 음이 많으면 이름에 양을 많이 넣고, 사주에 양이 많으면 이름에 음을 많이 넣어 작명해야 한다.

 

7. 삼원 오행론(三元 五行論)

 

삼원 오행론(三元 五行論)

글자의 획수를 천격(天格), 인격(人格), 지격(地格)으로 계산하여 이를 오행으로 표시하여 하늘과 사람과 땅이 상생이 되도록 이름을 작명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 천격(하늘, 부모) : 성의 획수 (부모에게서 물려 받은것)

. 인격(사람, 자신) : + 이름 첫자 획수

. 지격(, 처와 자식) : 이름 첫자 + 이름 끝자의 획수

 

획수와 오행

1,2획 : 목 / 3,4획 : 화 / 5,6획 : 토 / 7,8획 : 금 /9,0획 : 수

 

획수가 10 이상 이면 끝수로 판단함. )15획이면 --> 끝자 5획으로 삼원오행은 토()

 

) 김갑돌(金甲乭) : (-8) (-5) (-6)

천격 : (- 8) = 8()

인격 : (- 8) + (- 5) = 13()

지격 : (- 5) + (- 6) = 11()

 

삼원오행(--) - 상생하지 못함

 

- 건강, 두뇌총명, 대업성취, 현모양처, 무병장수, 재물풍부, 부귀영화, 행복하게 살아가는 격

木木木 木火木 木木土 木木水 木火木 木火火 木火土 木土土 木水木 木水金

木水水 火木木 火木火 火木水 火火木 火火土 火土火 火土土 火土金 土火木

土火火 土火土 土土火 土土土 土土金 土金土 土金金 金土火 金土土 金土金

金金土 金金水 金水木 金水金 金水水 水木木 水木火 水木水 水金土 水金金

水金水 水水木 水水金 水水水

 

- 단명, 불행, 사고. 수술, 구속, 사업실패, 이혼, 불구 등 평생 불행하게 살아가는 격

木木金 木火金 木火水 木土木 木土火 木土金 木土水 木金木 木金火 木金土

木金金 木金水 木水火 木水土 火木土 火木金 火火火 火火金 火火水 火土木

火土水 火金木 火金火 火金土 火金金 火金水 火水木 火水火 火水土 火水金

火水水 土木木 土木火 土木土 土木金 土木水 土火金 土火水 土土木 土土水

土金木 土金火 土金水 土水木 土水火 土水土 土水金 土水水 金木木 金木火

金木土 金木金 金木水 金火木 金火火 金火土 金火金 金火水 金土木 金土水

金金木 金金火 金金金 金水火 金水土 水木土 水木金 水火木 水火火 水火土

水火金 水火水 水土木 水土火 水土土 水土金 水土水 水金木 水金火 水水火

水水土

 

8.작명 불용 문자(作名 不用 文字)

 

작명 불용 문자(作名 不用 文字)란 말그대로 작명에 사용하지 않는 문자를 말하는데 사주의 신살 만큼이나 취용에 논란이 많은 것으로 그 논리가 미약한 부분도 많지만 참조하여 작명을 하는 것이 좋다.

 

() : 관재구설이 따르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 : 인덕이 없고 모든 일은 실패하며 불구자나 나쁜 질병에 걸릴 우려가 있다. 성씨는 관계없다.

() : 허례를 좋아하고 배우자복이 박하다

() : 원래의 한자 뜻과는 틀리게 어두운 심성을 나타낸다. 부모 형제복이 없고 배우자복이 박하다

() : 천년을 사는 거북이라 좋을 것 같아도 이와 반대로 단명하게 된다.

() : 수의 종말을 의미하므로 大材無用之格이라고 한다.

() : 연속적으로 실패하고 배신을 당하게 된다

() : 고독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하는 일마다 성취되지 않으니 일생동안 고생만 한다.

() : 만사가 중도에 어긋나며 여자의 경우 과부수가 허다하다. 변덕이 심하고 재산손실이 따른다

() : 부모덕이 없고 가난해진다고 한다.

() : 고독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하는 일마다 성취되지 않으니 일생동안 고생만 한다.

() : 관재구설, 손재, 파산등이 따른다.

() : 혈육의 덕이 없고 하는 일마다 풀리지 않는다.

 

() : 여자의 이름에 쓰면 몸을 의탁할 데가 없어 과부가 되기 쉽상이다.

() : 배우자덕이 없고 가정불화가 잦다.

() : 부모형제복이 없고 여성은 부부간에 불화가 발생한다.

() : 참을성이 부족하니 만사를 실패하기 쉽고 질병이 떠나지 않는다.

() : 이 글자는 옛날부터 천민이 썼던 것이므로 불행한 운명이 된다. 단명하기 쉽다

() : 하는 일마다 이루어지지 않으니 남 좋은 일만 시키다 만다. 관재구설, 파직, 이성문제가 발생한다

() : 인품이나 器局 모두가 볼 것이 없다고 한다.

() : 변덕이 심하고 배우자복이 없다.

() : ''자와 같이 사물의 종말을 뜻하므로 좋지 않다고 한다.

() : 짐승처럼 비천하다고 한다.

() : 과부 또는 화류계의 여성이 되기 쉽다고 한다.

(滿) : 先富後貧格이라고 한다.

() : 의탁할 데가 없으며 가는 곳마다 피해를 입히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

() : 두뇌는 명석하나 파란이 자주 오니 만사가 성취되지 않는다.

() : 성품은 착하나 허영심이 많고 팔자가 기박하여 천하게 되고 고독을 면하기 어렵다.

() : 종말을 의미하므로 흉이다.

() : 성격이 날카로워 서로 회합하지 못하므로 일마다 이루어지지 않는다.

 

() : 복의 반대는 불행이니 과부나 홀아비가 되며 재난이 항상 따라다닌다.

() : 가정 불화, 독수 공방할 수가 있다.

() : 배신을 당하거나 관재구설이 따른다.

() : 과부가 될 흉 암시가 있다고 한다.

() : 과부가 될 흉 암시가 있다고 한다.

() : 단명한다.

() : 관재구설이 따르고 재물운이 박하다.

() : 슬픔이 끊임없고 성질에 융통성이 없어 불화를 일으키기 쉽다.

() : 가정불화가 있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 : 매사에 속성속패하고 구설이 따른다

() : 비천한 사람들이 흔히 쓰는 글자이며 만사가 중도에서 좌절되기 쉽다.

() : 가정불화하고 재물복이 없다.

() : 금방 성취되었다가도 금방 패하게 되니 불행을 부를 글자이다.

() : 만사가 불운해져 회복되지 않으며 고독한 과부가 되기 쉽다.

() : 뜻밖의 재난이 닥치니 모든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 삶에 의욕이 강하나 고독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재물의 손실이 많다.

() : 재물복이 없고 부부가 생리사별한다.

() : 독선적이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 : 신분이 천하고 고독하며 일마다 고민이 많고 단명하게 되는 흉한 글자이다.

() : 온갖 재앙이 연이어 닥치니 실패하게 되며 모든 일이 좌절된다.

() : 새것의 반대는 낡은 것이니 만사가 처음은 좋으나 나중에 흐지부지 하게 된다.

() : 흔히 과부가 많고 평생동안 파란이 거듭거듭 닥친다.

() : 자존심이 강하고 인정이 없으며 재물복이 박하다.

 

() : 뜻과는 반대로 비애에 빠지는 신세가 되기 쉽고 남편과의 사랑도 지속되기 어렵다고 한다.

() : 비천과 고독에서 벗어나기 어려우니 좋지 않는 글자이다.

() : 근심걱정이 끊이지 않으니 쓰디쓴 경험을 하게 되며 일마다 성취되지 않는다.

() : 배우자운이 나쁘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 : 장자의 이름에는 쓰나 차자에게는 쓰지 않는다. 동생이 쓰면 형이 망한다.

() : 만사가 산산 조각나는 모양으로 자주 실패할 수가 있다. 여자의 경우에는 과부수가 많다.

() : 가상의 동물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니 허망한 일이 많고 좋지 않다.

() : 달처럼 중천에 외롭게 떠 있으니 고독을 피하지 못한다.

() : 형제간에 우애가 없고 재물이 흩어진다고 한다. 그러나 아호나 상호에는 관계 없다.

() : 심성은 고우나 인덕이 없고 만사에 장애가 많으니 기복이 심하다.

() : 일본에서 많이 쓰는 글자로 우리가 쓰면 고독하고 천하게 된다.

() : 질병이 있으며 불행한 일들이 연이어 일생 동안 재난만 겪게 된다.

() : 사주 운명에 인이 필요한 경우는 무방, 그렇지 않으면 흉. 특히 申年생과 酉年생은 사용불가.

() : 관재구설, 이성문제, 형액이 따르고 배우자덕이 없다.

() : 일마다 중도에 걸리는 것이 많고 신체에 이상이 있어 자유가 없게 된다.

 

() : 이 글자를 쓰면 천박하게 되거나 가정에 불화가 오며 불행하게 된다.

() : 동생의 이름에 쓰면 형이 망하며 만사가 중도에서 좌절된다.

() : 부모덕이 없고 부부간에 불화가 따른다.

() : 성공이 지속적이지 못하고 인덕이 없으며 고난이 따른다.

() : 관재수설이 따르고 배우자복이 박하다.

() : 실패와 좌절을 당하고 일생이 고독하다.

() : 배우자와 이별을하고 사고와 질병이 따른다.

() : 기초가 약하고 재액이 많이 오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 가정이 불화하고 고독하다.

() : 진짜의 반대는 가짜이니 하는 일마다 헛일이 되어 불행하다.

() : 만사가 중도에 어긋나며 여자의 경우 과부수가 허다하다.

() : 혈육의 덕이 없고 모든 일이 불운하나 성으로 쓰이는 경우는 상관없다.

() : 글자의 모양이 분산하는 것이니 만사가 흩어진다.

() : 변덕이 심하고 관재구설이 따르며 재복이 없다.

() : 가난한 데다 고독까지 겹치며 남에게 천대를 받는 불행한 글자이다.

() : 불행이 연이어 오니 일마다 장애가 많고 흉한 글자이다.

() : 불운에 빠지고 단명하다. 성씨로 쓰일 때는 상관 없다.

() : 의지가 박약하여 만사가 중도에서 꺾이고 단명하게 된다.

() : 고집이 강하고 허영심이 많고 남녀 공히 배우자복이 박하다.

() : 생사극단을 넘겨야하고 조난 단명을 초래한다.

() : 융통성이 없고 배신을 당하며 부부간에 생리사별이 따른다.

() : 성격이 급하고 책임감이 부족하다.

 

() : 삶에 역경이 많고 건강상 잔병치레가 많다.

() : 있던 재산도 다 날려버리는 흉이 있다고 한다.

() : 재산손실이 크게 발생한다.

() : 만사에 파란이 중첩되고 뜻한 일마다 성취되지 않는다.

() : 너무나 청수하여 남이 알아주기는 해도 재물이 없어 가난하게 된다.

() : 재물복이 박하고 배우자와 생리사별한다.

() : 인생항로에 파란곡절이 많다고 한다.

() : 질투심이 많고 융통성이 없으며 관재구설을 당한다.

() : 인정이 없으며 변덕이 심하고 화류계에 종사하기 쉽다.

() : 대개 단명한 사람이 많으며 그렇지 않으면 가난하다.

() : 실패가 많이 따른다.

() : 고독과 단명까지 겹쳤으니 흉한 글자이다.

() : 단명할 수가 있으며 만사가 풀리지 않는다.

() : 효도의 반대는 불효이니 조실부모 하기 쉬운 이름이므로 쓰지않는다.

() : 기쁨의 반대는 슬픔이니 고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재산을 망칠 운수가 된다.

() : 이 글자를 쓴 여자는 남자를 돕느라 자기의 힘만 들이게 되어 좋지 않다.

 

장남, 장녀만이 사용해야 하는 한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남, 장녀가 사용해서는 안되는 한자

() () () () () () () () () () ()

() () () () () () () ()

 

생년월일시에 따라 이름에 사용해서는 않되는 글자

생년월일시

이름에 사용해서는 않되는 글자

(자)年生이나 子日生

(오)

(축)年生이나 丑日生

(미)

(인)年生이나 寅日生

(신)

(묘)年生이나 卯日生

(유)

(진)年生이나 辰日生

(술)

(사)年生이나 巳日生

(해)

(오)年生이나 午日生

(자)

(미)年生이나 未日生

(축)

(신)年生이나 申日生

(인)

(유)年生이나 酉日生

(묘)

(술)年生이나 戌日生

(진)

(해)年生이나 亥日生

(사)

 

이름의 분파, 동자 이음어(同字異音語)

 

이름의 분파

성을 포함한 姓名(성명)의 한자가 모두 가로()나 세로()로 갈라져서는 않된다. 이런 이름을 갖게 되면 자기 자신의 권리가 반으로 줄어 축소되고 능력과 재능이 피기도 전에 꺾이며 불구(不具파산(破産형살(刑殺단명(短命)인 경우가 있게 된다.

 

실 례)

朴 仁 浩 --- 세로(, , ), 세로(, , )

林 鍾 喆 --- 세로(, , ), 세로(

 

위의 박인호(朴仁浩)란 이름을 분파(分破)해 보면 세로로(, , ), (, , )로 되어 있고 임종철(林種喆)이란 이름도 (, , ) (, , )로 분파 된다. 그러니까 한 사람의 이름 석자에서 두 사람의 이름이 나오는 격이다.

 

다만 성()과 이름을 함께 보아서 분파 되어야지 성은 괜찮고 이름만 분파 되면 분파되는 이름으로 보지 않는다.

, 박윤희(朴倫姬)라는 이름은 위의 설명처럼 분파(分破)되나 성이 박()씨가 아니고 최()씨라고 가정하면 성은 분파 되지 않으므로 성명분파(姓名分破)로 보지 않는다.

 

朴 倫 姬 ? 분파된 성명

崔 倫 姬 ? 분파 되지 않은 성명

 

또한, 다음과 같이 가로와 세로로 분파되는 경우도 분파된 흉한 이름으로 보지 않는다.

張 知 男 ? (세로, + ) + (세로, + ) + (가로, + )

朴 晟 珉 - (세로, + ) + (가로, + ) + (세로, + )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

하나의 한자(漢子)가 두 가지 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상 주의를 해야 한다.

 

) 이 수 녕(李 收 寧)

이 수 영(李 收 寧)

 

이렇게 두 가지로 발음되는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는 사회 활동상 혼란이 야기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인명용 한자(漢字 중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

다시 갱/고칠 경

어찌 나/내

들보 량/양

밝을 량/양

즐길 락/좋아할 요

헤아릴 량/양

성 김/쇠 금

끈 뉴/유

믿을 량/양

들보 량/양

성 려/여

바꿀 역/쉬울 이

예도 례/예

동료 료/요

둥글 륜/윤

법 률/율

책력 력/역

생각할 려/여

불쌍히 여길 련/연

연밥 련/연

무리 류/유

인륜 륜/윤

지낼 력/역

열사람 십/집

마칠 료/요

불릴 련/연

낚시줄 륜/윤

머무를 류/유

속될 리/이

거느릴솔/장수 수

법 도/헤아릴 탁

두 량/양

수레 거/차

능금나무 내/나

양식 량/양

재주 량/양

좋을 량/양

서늘할 량/양

힘력/역

고을려/여

열 십/주울 습

사모할 련/연

흐를 류/유

성 류/유

속 리/이

이웃 린/인

짝 려/여

연할 련/연

생각할 료/요

용 룡/용

산이름 륜/윤

밤 률/율

나그네 려/여

힘쓸 려/여

이을 련/연

견줄 례/예

유리 류/유

바퀴 륜/윤

말리꽃 리/이

영리할 령/영

★ 인명용 한자표 (대법원)

http://deungdae.hihome.com/inmyunghanja.htm

'정보화 교실 > 명리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로 보는 관상  (0) 2012.03.06
입춘(立春)이 한 해의 시작이다  (0) 2012.02.09
성명학(1)-수리론  (0) 2012.01.17
성명 수리의 중요성과 글자의 중요성   (0) 2012.01.17
삼재(三災)라 함은?  (0) 201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