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사이의 호칭은 이렇게
부 부 사이의 호칭은 특히 어색하게 많이 느껴지는 부분. 하지만 처음부터 버릇을 들여야지 안 그러면 나중에 고치기는 더욱 힘들다. 시부모에게 남편을 이야기 할 때는 `그이` `저이`라고 말하는 것이 맞다. 아이를 낳으면 아이 이름을 붙여 `OO아빠` `OO엄마`로 말한다. 신혼 초에 친구들과 만날 기회가 생길 때는 서로의 이름을 붙여 `OO씨`로 통일하면 편하다. 시동생이나 처제 등 아랫사람에게 지칭할 때에는 듣고 있는 아랫사람의 호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시동생에게 남편을 지칭할 때는 `형`이라고 하면 된다. 시부모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시 조부모에게 시부모를 말할 때는 `아버지` `어머니`로 하여 시부모를 낮춰 말한다. 남편, 남편의 형제, 동서에게는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말하면 된다. 그밖의 시댁 친척에게는 그들이 시부모에게 부르는 호칭대로 말하면 된다. 시부모에게 친정 부모를 이야기 할 때는 `친정어머니`라고 해야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앞에 `시`를 붙여 `시어머님`이라고 부른다. 또 타인에게 말할 때도 역시 앞에 `시`를 붙인다.
남편의 형제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남편 형제들을 대할 때의 기본은 `남편과 같은 서열`이라는 것. 즉 남편의 촌수가 바로 자신의 촌수라는 것만 염두에 두면 된다. 남편의 형을 시댁 식구에게 말할 때는 `아주버님` 친정 식구에게는 `시아주버님` 타인에게는 `시아주버니` `OO큰아버지`라고 하면 된다. 아주버님의 부인은 나이에 상관없이 `형님`이 된다. 시댁에서는 `형님` 친정에서는 `큰동서`라고 한다. 남편의 남동생이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으면 `도련님` 결혼을 했으면 `서방님`이 된다.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에는 `시동생`이라고 하며 자신이 아이를 낳으면 아이 이름을 붙여 `OO작은아버지`라고 말한다. 그 부인에게는 `동서`라고 부른다.
남편의 누나를 시댁 식구에게 말할 때는 `형님` 친정이나 타인에게는 `시누이` `OO고모`라고 표현한다. 남편 누나의 남편은 지역 이름이나 성을 붙여 `OO아주버님` `OO서방님` `OO고모부`로 말한다. 남편의 누이동생의 경우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아가씨`라고 부르고 아이를 낳으면 `OO고모`라고 부른다. 그녀의 남편에게는 지역 이름을 붙여 `OO서방님` `OO고모부님`이라고 하면 된다.
다른 사람은 나를 어떻게 부르나?
다른 사람의 호칭을 알아두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이 자신을 부르는 호칭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다. 시조부님은 손주 며느리에게 `손부`라고 하고 시부모는 `며느리` `새아가`라고 부른다. 남편의 누나는 `올케` 여동생은 `새언니` 시누이의 남편은 `아주머니` 시아버지의 동기들은 `조카며느리` 남편의 형은 `제수씨` 남동생은 `형수님`이라고 부르게 된다.
남편이 알아둬야 할 처가 호칭
새 신랑이 처가 쪽의 호칭을 제대로 알아두어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 아내의 오빠에게는 '형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만약 아내의 오빠이긴 하지만 자신보다 어리다면 '처남'이라고 부른다. 또, 아내 오빠가 결혼을 했다면 그 부인에게는 나이에 상관없이 '아주머니'라고 부른다. 아내의 남동생에게는 '처남' 그 아내에게는 '처남댁'이라고 부르는 것이 원칙이다. 아내의 언니는 결혼 여부에 상관없이 '처형'이 되고 그 남편이 자신보다 연상일 경우에는 '형님' 연하일 경우에는 '동서'라고 부르면 된다. 아내의 여동생은 '처제'이며 그의 남편에게는 '동서'나 성을 붙여 'O서방'이라고 부르면 된다.
**남편이 알아두어야 할 처가쪽 호칭**
**아내가 알아두어야 할 시댁 호칭**
|
'생활의 양식 > 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색 등대와 붉은색 등대 (0) | 2010.06.25 |
---|---|
본관(本貫)과 관향(貫鄕)과 고향(故鄕) (0) | 2010.06.02 |
전자레인지 "이것이 궁금하다" (0) | 2010.05.31 |
[정보] 한국의 명견 (0) | 2010.05.07 |
사랑의교회 건축을 바라보는 야긴과 보아스의 가상대화 (0) | 201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