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양식/시사,칼럼

[新 라이벌전](21) 삼성 ‘타워팰리스’ vs 현대 ‘하이페리온

풍월 사선암 2007. 10. 16. 21:39

[新 라이벌전] (21) 삼성 ‘타워팰리스’ vs 현대 ‘하이페리온

 

2003년 6월 말 한국 최고층 빌딩의 기록이 다시 쓰여졌다.1985년부터 20년 가까이 군림해 온 서울 여의도 63빌딩을 밀어내고 목동 현대 하이페리온Ⅰ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2004년 4월 도곡동 삼성 타워팰리스Ⅲ가 완공되면서 불과 10개월 만에 1위가 다시 바뀌었다. 타워팰리스와 하이페리온에는 삼성물산(건설부문)과 현대건설의 자존심이 걸려 있다.1990년대 후반 본격화한 건설업체들의 치열한 마천루 경쟁의 산물이기도 하다.

 

 

이런 ‘랜드마크(대표 건축물)’급 건축물은 사업성·수익성 등 외에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는 홍보 효과가 크게 고려된다. 지진, 바람 등 각종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초고층 건물은 첨단 시공능력의 상징이기도 하다.


●타워팰리스Ⅲ 높이 264m 최고

타워팰리스Ⅲ와 하이페리온Ⅰ은 똑같이 최고층이 69층이지만 높이는 타워팰리스Ⅲ가 264m로 256m인 하이페리온보다 8m가 더 높다. 타워팰리스에는 층고가 다른 층보다 높은 층들이 중간중간 끼어 있기 때문이다. 지상 60층인 63빌딩(63이라는 숫자는 지하 3개 층을 합한 것)은 249m다.


전체 단지규모에서는 연면적 기준으로 3차에 걸쳐 조성된 타워팰리스Ⅰ·Ⅱ·Ⅲ가 하이페리온Ⅰ·Ⅱ의 1.6배에 이른다. 아파트는 타워팰리스 2590가구, 하이페리온 1042가구이고 오피스텔은 각각 480실과 799실이다.


타워팰리스가 착공된 것은 하이페리온보다 1년 앞선 1999년이었다. 옆으로 길쭉한 직육면체꼴의 ‘판상(板狀)형’ 아파트가 대부분이던 시절 고급 주거를 겨냥해 친환경과 복합 커뮤니티 개념을 엮어 사업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100층 규모로 추진됐다가 각종 제한에 묶여 결국 최고 69층으로 건축허가가 났다.2002년 10월 최고 66층(234m)의 타워팰리스Ⅰ이 완공됐다. 하지만 60층이면서도 사무용 건물이어서 개별 층고가 높은 63빌딩의 높이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런 와중에 이듬해 6월 현대의 하이페리온Ⅰ이 완공되면서 최고층 빌딩에 등극했다. 삼성이 타워팰리스Ⅲ를 하이페리온보다 8m 높게 지은 것은 다분히 이를 의식한 결정이었다. 회사 관계자는 10일 “264m까지 건물을 높이기로 한 데는 다른 어떤 건물보다도 높이 올리자는 의도가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하이페리온 ‘파스텔톤 조명´ 명물로

타워팰리스 시공에는 다양한 기술들이 최초로 도입됐다. 이음 없이 거푸집을 이동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 폼(Slip Form)’ 등 첨단기술을 처음으로 동원해 3일 만에 1개 층씩 초고속으로 골조를 올렸다.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및 도면관리도 국내에서 이때 비로소 시작됐다.


현대건설은 2000년 ‘호텔형 아파트’ ‘원스톱 리빙시스템’을 표방하며 하이페리온을 착공했다. 위에서 본 모양은 방사상으로 건물이 튀어나온 마름모꼴이다. 최상층은 최고급의 서구식 펜트하우스로 꾸미고 호텔객실에 쓰이는 자재를 마감재로 택했다. 재택근무, 자가진료시스템, 화상통신 등 첨단 정보통신시스템을 기본으로 갖췄다.


그리스신화 속 ‘빛의 신’에서 이름을 따온 브랜드 컨셉트에 맞춰 빛과 조망에 많은 공을 들였다. 야간에 적·청·녹·황의 파스텔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이 번갈아가며 건물 전체를 비추도록 만든 게 대표적이다.


하이페리온의 외부 조경은 이탈리아 밀라노공대가 설계했다.


단지 안에 인공동산을 만들고 옥상 하늘정원과 함께 건물 꼭대기에서부터 지하공간까지 빛이 투과하도록 해 지하 2층에 밝은 빛이 드는 ‘선큰 가든’을 만들었다. 최고급 아파트의 이미지에서 오는 주변지역과의 위화감을 없애기 위해 담장을 만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