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양식/시사,칼럼

[新 라이벌전](3) ‘3위 경쟁’ 현대건설 vs GS건설

풍월 사선암 2007. 7. 13. 13:13

[新 라이벌전] (3) ‘3위 경쟁’ 현대건설 vs GS건설


고부가 플랜트로 승부 60년 전통 ‘토목 강자’ 요즘 건설업계에서 현대건설과 GS건설은 맞수다. 건설업체의 순위 척도인 시공능력평가 부문(2006∼2007년)에서 현대건설은 3위,GS건설은 4위다.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은 현대건설은 한국 건설의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모두가 인정하는 ‘전통의 건설강자’이다. 반면 38년된 GS건설의 최근 상승세는 매섭다. 두 회사의 구도는 관록과 패기의 대결로 불릴 만하다.


GS그룹은 2005년 3월 LG그룹으로부터 분리됐다. 그룹 분리와 함께 핵심계열사인 GS건설의 위상이 종전보다 더 높아지고 있다.GS그룹은 물론 LG그룹의 직·간접적 지원을 업은 GS건설은 그룹 이미지보다 더욱 역동적이다.


반면 현대그룹의 모태인 현대건설은 2001년 그룹이 분리되면서 유동성 위기로 은행공동관리체제에 들어갔다. 지난해 5월 경영정상화를 이루면서 자율경영체제로 돌아왔다.


신용등급도 유동성 위기 이전인 A-로 돌아왔다. 도전보다는 수익성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두 회사는 주택에서 강하고,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인 게 공통점이다. 차이점을 찾는다면 현대건설은 토목에 강하고,GS건설은 플랜트 수주가 부쩍 많아진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GS건설이 최근 해외에서 공격적으로 치고 나오는 반면 현대건설이 인수·합병(M&A)을 앞두고 있어 운신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두 업체의 실적은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다. 지난해 매출에서 현대건설은 5조 849억원,GS건설은 5조 7450억원이었다. 그러나 ‘미래 매출’인 수주에서는 현대는 9조 2408억원,GS는 9조 1300억원으로 현대가 근소하게 앞섰다. 두 회사 모두 올해 10조원 돌파를 수주 목표로 삼았다.


업계 1위를 향한 두 회사 최고경영자(CEO)들의 다짐도 한 치의 양보가 없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이종수(58) 현대건설 사장은 임직원들에게 틈틈이 “대한민국 대표 건설사로서의 위상을 다시 다지자.”며 독려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국내 업체 중 해외매출 1위였다. 고객과의 스킨십 경영도 많이 한다. 서울고와 연세대를 마친 이 사장은 현대건설에서 30년 잔뼈가 굵은 ‘건설통’이다.


GS건설은 김갑렬(59) 사장이 2002년 취임 한 이후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이 기간 주가는 6배로 뛰었다. 그는 자동차에 항상 안전화와 안전모, 작업복을 싣고 다닌다.


김 사장은 “초일류 기업이 목표”라고 강조한다. 증권사 애널리스트와의 접촉도 활발하다. 경남고와 고려대를 거친 김 사장은 ‘기획통’이다.


두 회사는 아파트 브랜드에서도 프리미엄 신경전을 한창 하고 있다.GS는 2002년 9월 ‘자이’를, 현대는 지난해 9월 ‘힐스테이트’를 각각 내놓았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5573가구를 분양했다. 올해에는 1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1064가구를 성공리에 분양했다.


GS건설은 지난해 5221가구를 분양했다. 올해 목표는 1만 8000가구이다. 지금까지 4968가구를 분양했다.


두 회사간의 접전은 다음달 초 벌어진다. 현대건설은 경기 용인시 상현동 상현지구에서 상현힐스테이트 860가구를,GS건설은 상현지구에서 2㎞가량 떨어진 성복지구에서 성복자이 500가구를 분양한다. 두 회사 모두 막판 분양가 협의가 진행 중이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