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눈을 믿을 수 있을까요.
가만히 보면 우리의 눈을 의심하게 합니다.
NO.01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B52334FEC1CE806)
물개? 당나귀?
NO.02
![](https://t1.daumcdn.net/cfile/blog/18336F334FEC1CE92E)
빨간 선들이 휘어져 보이죠. 사실은 똑바른 직선이랍니다.
NO.03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8FC334FEC1CE916)
격자 모양이 되게 일정한 폭을 갖는 검은 선분을 그려 보자.
가로 선과 세로 선의 교차점에 회색의 점들이
움직이듯이 보였다 사라졌다하는 것이 보인다.
NO.04
![](https://t1.daumcdn.net/cfile/blog/124196334FEC1CEA1F)
빨간 두 개의 선분이 볼록하게 휘어져 보인다.
사실은 똑바른 직선이랍니다.
NO.05
![](https://t1.daumcdn.net/cfile/blog/1763A13B4FEC1CEA24)
일정한 폭을 갖는 선분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해 보세요.
선분의 교차점에 원들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요.
하지만 실제로 원은 존재하지 않는답니다.
NO.06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0B23B4FEC1CEA10)
원안의 정사각형이 정사각형처럼 보이세요?
NO.07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2C83B4FEC1CEB32)
가운데 원들 중에 어느 원이 더 커 보이나요?
사실은 두 원의 크기가 같답니다.
NO.08
![](https://t1.daumcdn.net/cfile/blog/12565A3B4FEC1CEB2F)
검은 정사각형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해 보자.
정사각형 사이에 길들의 교차점에 검은 점들이
움직이듯이 보였다 사라졌다 하는 것이 보인다.
NO.09
![](https://t1.daumcdn.net/cfile/blog/172924334FEC1CE837)
구걸하는 남자와 웃는 남자
NO.10
![](https://t1.daumcdn.net/cfile/blog/15654D3B4FEC1CEC22)
빨간 두 개의 선분이 오목하게 휘어져 보인다.
NO.11
![](https://t1.daumcdn.net/cfile/blog/2002783B4FEC1CEC0A)
볼록하게 튀어 나온 것일까요? 오목하게 들어간 것일까요?
180도로 회전하여 보세요.
그럼 볼록했던 느낌이 오목한 느낌으로 바뀝니다.
NO.12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9633B4FEC1CED11)
그림 속에는 정육면체가 모두 몇 개일까요?
검은색 마름모 모양을 정육면체의 밑면으로 볼 것이냐
정육면체의 윗면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 눈에 보이는
정육면체의 개수는 7개일 수도 있고 6개 일 수도 있다.
NO.13
![](https://t1.daumcdn.net/cfile/blog/172FB8364FEC1CED20)
정육면체가 보이세요?
NO.14
![](https://t1.daumcdn.net/cfile/blog/164E63364FEC1CED07)
존재하지도 않는 삼각형이 보이세요?
이런 착시현상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하지요
NO.15
![](https://t1.daumcdn.net/cfile/blog/171AF4364FEC1CEE34)
검은색 선이 어긋나 보이네요.
NO.16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C98364FEC1CEE23)
굵은 직선들은 모두 평행하답니다.
그런데 착시를 일으켜 비뚤어져 보이는 것이랍니다.
NO.17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540364FEC1CEF28)
위의 그림처럼 선분의 끝점들을 표시하지 않고 나타내면
위의 선분이 아래의 선분보다 더 길어 보인다.
이 착시는 1899년 뮐러(Muller)와 라이어(Lyer)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뮐러-라이어 착시라고 불린다.
NO.18
![](https://t1.daumcdn.net/cfile/blog/1353B8364FEC1CF003)
위의 그림은 정사각형 붙여 놓은 것이다.
정사각형 A의 한 변의 길이와 B의 한 변의 길이의 비는?
이 문제는 <1996학년도 수학능력시험> 수학 문제로
'정사각형 A의 한 변의 길이와 B의 한 변의 길이의 비는
4 : 3 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길이의 비는 16 : 11 이다.
NO.19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20C364FEC1CF02B)
삼각형 안에 동그라미에서 위의 꼭 지점까지의 거리와
밑변까지의 거리를 비교하면 어느 쪽이 더 길까?
NO.20
![](https://t1.daumcdn.net/cfile/blog/1161D6384FEC1CF11B)
어느 쪽이 진짜 상자일까요?
NO.21
![](https://t1.daumcdn.net/cfile/blog/184019334FEBAFAF15)
사각형이 모두 다 정사각형입니다
NO.22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759384FEC1CF230)
세워져 있는 막대와 눕혀져 있는 막대 중
어느 막대가 더 길까요?
NO.23
![](https://t1.daumcdn.net/cfile/blog/124E92384FEC1CF224)
이 그림 속에 있는 색깔은 모두 몇 개인가?
그림 속의 X자에서 대각선 '/'부분과 '\' 부문은
서로 다른 색깔로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같은 색깔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NO.24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AF2384FEC1CF309)
같은 크기라도 검은색 물체는 작게 보이고
흰색 물체는 크게 보입니다.
검은 사각형과 흰 사각형의 크기를 비교해 보세요.
NO.25
가운데 원을 기준으로 나오고 들어가고, 나오고 들어가고,
또는 들어가고 나오고, 들어가고 나오고, 어느 것이 맞을까요?
NO.26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8FD384FEC1CF526)
가운데 선은 직선입니다
NO.27
![](https://t1.daumcdn.net/cfile/blog/206252384FEC1CF61D)
어느 쪽 괴물이 더 커 보이는가?
같은 그림이랍니다.
NO.28
![](https://t1.daumcdn.net/cfile/blog/133231334FEC1CE930)
과연 이 그림들은 해골 그림일까?
아닐까?
NO.29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461384FEC1CF62A)
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가?
여자인가 음악가인가?
NO.30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BF53C4FEC1CF620)
어느 군인이 가장 커 보이는가? 사실은 키가 똑같다.
NO.31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DDF3C4FEC1CF605)
고개 숙인 아이가 보이는가? 아님 기둥이 보이는가?
NO.32
![](https://t1.daumcdn.net/cfile/blog/1353623C4FEC1CF729)
노인과 소녀, 그리고 누워있는 개
NO.33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DFC3C4FEC1CF72E)
어떻게 된 집일까? 문이 복도 끝에 있는 걸까? 아님 창문일까?
NO.34
![](https://t1.daumcdn.net/cfile/blog/194D6F3C4FEC1CF72C)
이 그림은 세 가지 모양으로 보일 수 있다.
1. 큰 육면체 앞에 작은 육면체.
2. 작은 육면체가 잘려 나간 큰 육면체
3. 구석에 놓여 있는 작은 육면체
NO.35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9AD3C4FEC1CF708)
몇 가지 색깔이 사용되었을까요?
3개의 색깔이 사용된 걸까요?
아님 4개의 색깔이 사용된 것일까요?
NO.36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9FF354FEC1CF834)
유명한 그림이다. 1915년 시사만화가 W.E. Hill이 그렸다.
고개 돌린 젊은 여자 얼굴인가?
아니면 머리에 스카프를 두른 할머니 얼굴인가?
잘 보면 젊은 여자의 턱이 할머니의 코로 보인다.
아님 할머니의 코가 젊은 여자의 턱으로 보이거나.
NO.37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446354FEC1CF81C)
무엇일까? 평평한 표면처럼 보인다.
계단처럼 보인다.
NO.38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EAE354FEC1CF814)
가운데 두 영역이 색깔이 같다.
왼쪽 영역이 흐릿해 보인다.
오른쪽 영역이 흐릿해 보인다.
NO.39
![](https://t1.daumcdn.net/cfile/blog/19169D354FEC1CFA01)
4개의 직사각형의 색깔이 모두 같다.
직사각형의 색깔이 조금 다르게 보인다.
직사각형의 색깔이 조금 다르게 보인다.
4개의 직사각형의 색깔이 모두 같지만, 다르게 보인다.
NO.40
사람의 얼굴로만 보이는가?
잘 보면 털 코트를 입고 뒤돌아 서있는 사람이 보입니다.
NO.41
![](https://t1.daumcdn.net/cfile/blog/113CD5334FEC1CE822)
얼핏 보면 무섭지만 자세히 보세요.
여러 사람이 보일 겁니다.
절대로 눈에 보이는 것이 다 진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BF1224A73B9F37D)
![첨부이미지](https://t1.daumcdn.net/planet/fs11/7_29_9_1_4vhS0_10792249_52_5207.gif?original&filename=5207.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