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의 유래와 풍속
대보름 이란 음력으로 정월 15일을 가르키는 말로 상원(上元) 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도가에서 말하는 삼원의 하나로, 삼원이란 상원(1월15일), 중원(7월15일), 하원(10월15일)을 말한다. 도가에서 이 날은 천상의 선관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고 한다.
보름은 매월 한 번씩 달이 둥글게 되는 날로서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새해 들어서 맞는 정월첫 보름을 대보름, 8월 보름을 한가위라고 하여 특히 다른 보름날과 구별하였다.
농촌에서는 태양력에 의해 봄이 드는 입춘절과 함께 농사를 짓기 전에 맞는 첫 번째의 만월인 대보름을 여름 농사를 시작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대보름 행사에는 그 해의 농사를 미리 점치는 풍속 뿐 아니라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대동놀이 등이 전국 곳곳에서 발달하였다.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다. 태고적 풍속은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의 수세하는 풍속과 같이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세운다는 기록이 보인다.
한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小 正月)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정월대보름의 민속놀이
보름새기 -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 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한다.
더위팔기 - 보름날 해가 뜨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내 더위 사'라고 외치면 한해 더위가 상대방에게 팔린다.
달 맞 이 - 초저녁에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으면서 새해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빈다. 가장 먼저 소원을 빈 사람이 가장 길하다고 한다.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에 태우면서 풍년을 빈다.
다리밟기 - 땅에 놓여진 '다리'를 밟으면 밟는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기대하며 다리를 밟는 풍습이다.
액막이 연 - 그 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의미로 연을 띄워보낸다.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쓴다
지선밟기 - 농악대가 집을 돌며 자신(땅을 맡은 신령)을 달래고 복을 비는 민속놀이. 선두에 ‘지신밟기’ 라고 쓴 기를 세우고 기 뒤에는 농악대가 따르며 농악대 뒤로는 기수, 사대부, 팔대부, 하동, 포수 등으로 분장한 행렬이 따른다.
부럼깨기 - 새벽에 날밤, 호두, 은행, 잣, 무우 등을 깨물며 ‘1년 12달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 이 나지 않게 해 주시오’ 하고 축수하는 것을 말한다.
■ 대보름의 음식
오곡밥과 약식 - 찹쌀, 팥, 차조, 콩 등 다섯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으로서 다음 해에도 모든 곡식이 잘 되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겨있다. 약식은 찹쌀, 대추, 밤, 꿀, 잣 등을 섞어 찐 밥이며, 대추, 밤, 참기름, 꿀, 간장 등을 섞어 함께 찌고 잣을 박은 것을 약밥이라고 한다. 이는 신라의 옛 풍속이다.
복쌈 - 마른 취나물이나 배추잎 또는 김에 밥을 싸서 먹기도 하는데, 이를 복쌈 또는 복과라고 불렀다. 이 복쌈을 여러개 만들어 그릇에 볏단 높이 쌓듯이 성주 신에게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온다고 했다.
귀밝이술 - 대보름날 아침에 가족이 모여 웃어른이 찬 술을 한 잔씩 따라주며 마시게 하는데, 이렇게 하면 귀가 밝아진다고 한다.
진채식(陳菜食) - 진채란 묵은 나물을 뜻하는 것으로, 호박고지. 박고지. 말린가지. 말린버섯. 고사리. 고비. 도라지. 시래기. 고구마순 등 적어도 9가지 나물을 볶아서 먹는다. 진채식을 먹으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생활의 양식 > 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계 한국인 李參의 '재미 있는 한국인論' (0) | 2011.03.11 |
---|---|
세상을 바꿔 놓은 제품 TOP 10 (0) | 2011.02.23 |
올바른 호칭 사용법 (0) | 2011.02.02 |
시누이의 남편도 '서방님'이라 불러보세요 (0) | 2011.02.02 |
시계 광고는 왜 10시10분에 멈춰 있을까? (0) | 201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