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정원/명상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풍월 사선암 2008. 3. 24. 20:41

-2014년 06월26일 모스크바 아르바트 거리의 푸쉬긴 동상-

  Vasily Tropinin. Portrait of Alexander Pushkin.

1827. Oil on canvas. The Pushkin Museum, Moscow, Russia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슬픔의 날을 참고 견디면

머지않아 기쁨의 날이 오리니


현재는 언제나 슬프고 괴로운 것.

마음은 언제나 미래에 사는 것.

그리고 또 지나간 것은

항상 그리워지는 법이니.

 

  Orest Kiprensky Portrait of Alexandr Pushkin, 1827

Oil on Canvas The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러시아 시(詩)의 태양"이라고 일컬어지는 알렉산드르 푸쉬킨은 러시아인들이 가장 존경하고 사랑하는 문학가 중 한 사람입니다. 푸쉬킨은 자신의 시를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고 충고했습니다. 어쩌면 푸쉬킨의 삶이 그대로 녹아 있는 시가 아닐까 싶네요.


알렉산드르 푸슈킨 (Aleksandr Sergeevich Pushkin )

1799년 6월 6일 출생 / 1837년 2월 10일 사망  

 

 

Valentin Serov. Alexander Pushkin on a Park Bench.

1899. Graphite, watercolor, whitewash on paper.

The State Museum of Alexander Pushkin, St. Petersburg, Russia.

 

알렉산드르 푸쉬킨(Alexandr Pushkin)이 아프리카 흑인(어머니의 증조할아버지가 Abram Petrovich Gannibal로 아프리카 족장의 아들로 러시아인에게 노예로 팔려 표트르 대제에게 바쳐졌다가 나중에 표트르 대제의 신임을 얻고 귀족계급까지 오름)의 후손으로 푸쉬킨이 러시아 문학에 남긴 업적은 대단하다 할 수 있습니다. 

 

 

Feodor Bruni, Alexander Pushkin in the coffin(관 속의 알렉산드르 푸쉬킨),

1837, Black chalk on paper. The Pushkin Museum, Moscow, Russia

 

푸쉬킨에게는 나탈랴 푸쉬키나(결혼전 성은 Goncharova)라는 어여쁜 아내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내는 푸쉬킨을 속이고 네덜란드 외교관인 단테스 데 헥케른(D'Anthes-Heeckeren)남작과 염문을 뿌리게 되지요. 단테스와 나탈랴가 내연의 관계라는 소문은 러시아 사교계에 쫙 퍼지게 되고 나중에는 푸쉬킨의 귀에까지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여하튼 불쾌한 소문을 접한 푸쉬킨은 분을 참지 못하고 단테스에게 결투를 신청하게 됩니다.


결국 1837년 1월 27일 상뜨 뻬쩨르부르크에서 두 사람의 운명적인 결투가 있었습니다. 이 결투에서 푸쉬킨은 단테스가 첫 발로 쏜 총알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고 이틀 후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단테스는 나탈랴 여동생의 남편으로 푸쉬킨에게는 처제의 남편이었습니다. 푸쉬킨의 정적들이 푸쉬킨을 제거하기 위해 헛소문을 퍼뜨렸다는 설도 있습니다.)


후세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는 명시를 지은 시인 푸쉬킨은 아내의 속임에 노여워하는 바람에 슬픔의 날을 맞이하고야 말았던 겁니다. 만약 아내가 자신을 속였을지라도 푸쉬킨이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않았더라면 그는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고 전세계의 독자들은 주옥같은 그의 작품을 더 많이 즐길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남편을 죽음으로 몰고 간 아내 나탈랴 푸쉬키나는 팜므 파탈로 불러도 무관할 것 같습니다.

 

첨부이미지